[씨줄날줄] 풍자 그림/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풍자 그림/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2-11-20 00:00
업데이트 2012-11-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중미술가 홍성담 화백의 ‘골든타임-닥터 최인혁, 갓 태어난 각하에게 거수경례하다’란 풍자 그림이 논란에 휩싸였다. MBC 드라마(골든타임)를 소재로,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아이를 낳은 장면을 묘사했다. 아이는 검은 선글라스를 끼고 있고, 분만에 참여한 맨 왼쪽 의사는 아이를 향해 거수경례를 붙이고 있다. 맨 오른쪽 간호사는 손가락으로 브이(V)자를 그리고 있다. ‘박정희를 낳는 박근혜’라는 그림임을 한눈에 보여준다.

이 풍자화는 사단법인 평화박물관(공동대표 백낙청 등)과 ‘아트 스페이스 풀’이 유신 40주년을 맞아 공동 기획한 ‘유체이탈’(維體離脫)에 전시한 작품 가운데 하나다. 홍 화백은 언론 인터뷰에서 ‘박근혜 출산설’에 착안한 그림이라면서 “(박 후보의) 이상스러운 처녀성, 몰지각한 여성의 신비주의 가면을 벗겨내고 싶었다.”고 주장했다. 실정법 위반 논란에 대해서는 “하위법인 공직선거법 위에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가 있다.”면서 “헌법에 기초해서 인간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어 “헌법소원을 내서라도 표현의 자유의 귀중함을 가늠해 보려 한다.”면서 “이 정도의 자유가 없다면 국적 포기 선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쯤에서 영화 ‘간첩 리철진’ 등으로 유명한 장진 감독의 ‘풍자론’을 음미해 보자. 그는 어느 신문 인터뷰에서 “풍자는 대상과 타이밍은 물론, 수위까지 정확해야 한다.”면서 “대중이 느끼는 옳고 그름을 위배하면 풍자는 살아남지 못한다.”고 했다. 또 “수위를 넘어서면 일방적 조롱이 되거나 누가 봐도 거부감을 느끼는 인신공격이 된다.”면서 “누군가를 죽이려는 풍자는 풍자로서의 성격을 잃으며, 공격받는 상대에게도 피할 자리를 마련해 줘야 한다.”고 했다. 참으로 공감이 간다. 그가 어느 TV에서 진행하는 시사 코미디쇼에 대해 풍자의 단골 손님인 이명박 대통령조차 “재미있다. 전혀 기분 나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니 그의 ‘풍자의 격’을 짐작할 만하다.

홍 화백의 풍자화를 두둔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정치·이념적으로 특정 정파에 경도된 그가 ‘딸이 아버지를 낳는’ 반인륜적 표현을 한 것 자체부터 부적절하며 설득력도 약하다. 아무래도 홍 화백은 장 감독에게 풍자가 무엇인지에 대해 한 수 단단히 배워야 할 듯하다. 또한 내 권리가 중요하면 타인의 권리도 중요하며, 모든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는 게 민주시민의 상식이란 점도….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2-11-20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