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아내들과 가계가 앓고 있다… 스트레스 코리아 2제] 워킹맘 83% “육아·일 병행 힘들다”

[대한민국 아내들과 가계가 앓고 있다… 스트레스 코리아 2제] 워킹맘 83% “육아·일 병행 힘들다”

입력 2012-11-14 00:00
업데이트 2012-11-1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40대 여성 1000명 설문

직장과 살림에 육아까지 담당해야 하는 ‘워킹맘’의 삶은 팍팍하다. 사단법인 여성·문화네트워크가 여성가족부와 여성신문의 후원을 받아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30~40대 직장여성 1000명을 설문조사해 이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워킹맘 고통지수’가 5점 만점에 3.04점으로 나타났다. ‘워킹맘 고통지수’는 일하는 여성으로 살면서 느끼는 고통의 정도를 계량화한 수치로 5점에 가까울수록 어려움이 큰 것이다.

이미지 확대
조사에 응한 직장여성의 83.7%는 ‘육아와 직장일을 병행하는 것이 힘들다.’고 답했다. 71.8%는 육체적 피로감을, 59.0%는 휴식시간 부족을 호소했다. 지난 8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2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서도 만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워킹맘 중 30.6%는 경제·직업·건강 등 전반적인 삶이 불만족스럽다고 답했다.

대기업 홍보팀 김모(36·여) 과장은 조선족 베이비시터에게 월 180만원을 주고 3살 딸을 맡긴다. 적지 않은 돈을 들이지만 퇴근 후 아이 돌보기는 온전히 김씨 몫이 된다. 김씨는 “일·육아·가사까지 모두 잘하려다 보니 스트레스가 심하고 체력적으로도 힘에 부쳐 견딜 수가 없을 정도”라면서 “야근 후 아기를 둘러업고 설거지를 하고 있으면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이러나 싶어 눈물이 난다.”고 했다.

대기업 경영지원실 엄모(32·여) 대리는 아이가 생긴 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출근을 해도, 퇴근을 해도 그녀의 쉼터는 없다. 복직한 뒤엔 가사 분담을 두고 남편과의 다툼도 부쩍 잦아졌다.

너도나도 저출산을 이야기하지만 정작 워킹맘이 기댈 제도적 장치는 미비하다. 설문조사에서 일하는 여성들은 ‘국가의 보육서비스가 향상되면 아이를 더 낳겠다’는 응답이 절반(50.3%)을 넘었다. 하지만 ‘일과 가정을 조화롭게 할 정책지원이 미흡하다’고 답한 워킹맘은 82.6%였다.

강남식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교수는 “질 높은 보육을 할 수 있는 국가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워킹맘의 고통을 해소하는 열쇠”라면서 “직장문화도 여성이 일·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혜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사회통합연구실장은 “일·가정의 양립을 위한 세심한 정책도 필요하지만, 이미 있는 제도를 눈치 보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2-11-1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