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식민사학 반박한 정인보의 고조선 역사 고증

日 식민사학 반박한 정인보의 고조선 역사 고증

입력 2012-11-07 00:00
업데이트 2012-11-0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선사연구’ 한글판 첫 발간

일제시대 독립운동가이자 사상가인 박은식은 ‘국혼’(國魂)을, 신채호는 ‘낭가사상’(家思想)을, 문일평은 ‘조선심’(朝鮮沈)을 각각 강조하며 조선인들의 민족적 자존심을 고취했다. 위당 정인보(1893~?)는 같은 맥락에서 ‘민족 얼’을 강조했다. ‘얼’은 우리가 잘 아는 ‘고도리’(가장 중요한 본질)라고 이야기한 것이다.

정인보는 조선총독부가 식민사학자들과 1915년 펴낸 ‘조선고적도보’라는 역사책을 본후 분기탱천했다. 1913년 일제의 고적조사단이 평남 용강군 해운면에서 ‘점제현신사비’를 발굴하고 일본인 식민사학자 이마니시 류가 “해당 비의 발굴은 한사군이 한반도 안에 있었다는 증거”라고 강변한 것들이 사실인 양 들어가 있었던 것이다. 정인보는 일본 학자들의 조선사에 대한 고증이 총독정책과 밀접하다는 것을 깨닫고,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되겠구나. 깡그리 부숴 버리리라.”고 다짐했다. 정인보가 1935년 1월 1일부터 동아일보에 ‘오천년간의 조선의 얼’이란 제목으로 단군부터 조선까지 5000년의 역사를 개괄하는 연재를 시작한 이유다. 1년 7개월 동안 282회 연재되던 중 베를린올림픽에서 마라토너 손기정 선수의 시상식 장면에서 동아일보 미술기자였던 청전 이상범이 일장기를 지워버리는 ‘의거’를 벌이자 동아일보가 강제 정간돼 중단됐다.

정인보가 분석하고 고증했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의 시조 단군은 신이 아니라 인간이었다.”고 선언했다. 일제의 단군조선 부정론에 대항한 것으로, 신화의 영역에 있던 단군을 역사의 연구영역으로 불러들인 것이다. 단군은 특정인의 이름이 아니라 천제의 아들로 비견되는 최고 통치자에 대한 존호였다는 것이다.

둘째, 기자조선설을 부인했다. 따라서 한민족의 역사는 고조선-위만조선-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것이다. 또한 고조선의 도읍 왕검성을 지금의 평양이 아니라 요동의 험독, 지금으로는 요령성 해성현으로 추정했다.

셋째, 삼한(三韓)은 지명이 아니라 한(汗)이나 간(干)처럼 크다거나 임금이라는 뜻이 있는 일종의 존호이며, 고조선과 별개의 정치세력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라고 주장했다. 넷째, 요수를 지금의 하북성 영평 일대를 흐르는 난하지역으로 추정했는데, ‘요수난하설’은 1960년대 북한 역사학자 리지린이 보충해 개진했다.

다섯째, 한사군의 위치가 낙랑은 요동의 험독, 현토는 우북평, 임둔은 초자하, 진번은 대릉하 지역으로 모두 한반도 너머에 있었던 것으로 고증하고, 관할 지역이 수시로 변동됐던 한사군에 대해 “이름만 있을 뿐 실체가 없었다.”고 강조했다. 한사군이 한반도를 400년이나 지배했다는 식민사학자들에 반박한 것이다. 현재 중국의 ‘동북공정’의 주요 쟁점들에 대해서도 이미 1930년대 고증해 밝힌 셈이다.

정인보의 연재물 ‘오천년간 조선의 얼’은 1946년 서울신문에서 단행본 ‘조선사연구’로 새로 태어났다가, 1983년 ‘담원 정인보 전집’ 중 제3·4권으로 출간됐고, 최근 우리역사연구재단에서 ‘조선사연구’(문성재 역주)로 한글판을 내놓았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1-07 2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