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지수는 유전” 젠스니즘 논란 남기고 떠난 아서 젠슨

“지능지수는 유전” 젠스니즘 논란 남기고 떠난 아서 젠슨

입력 2012-11-06 00:00
업데이트 2012-11-06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년전 논문 한편으로 큰 반향

인류의 역사에서 전쟁을 낳은 가장 기본적인 대립은 ‘인종’ 또는 ‘민족’에 있었다. 서로를 경멸하면서 싸웠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이 같은 앙금이 남아 있다. 20세기 이후에는 인종·민족 간 차이가 근본적인 것이라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과학이 동원됐다. 히틀러는 수많은 과학자들을 동원해 유태인과 흑인을 열등한 존재로, 아리안족은 우월한 존재로 만들기 위해 애썼다. 이른바 ‘우생학’이다.

이미지 확대
2차 세계대전의 종전 이후 과학적 인종전쟁의 중심은 미국이었다. 수많은 인종이 뒤섞여 있는 나라라는 근본적인 한계 때문에 분란이 끊이지 않았다. 1969년, 한 편의 논문이 ‘하버드 교육리뷰’에 발표됐다. ‘우리는 얼마나 지능지수(IQ)를 끌어올릴 수 있는가’라는 제목의 이 논문은 40년도 훨씬 더 지난 현재까지도 ‘심리학 역사상 가장 문제적인 논문’으로 손꼽힌다. 논문의 주인공인 아서 젠슨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1일(현지시간) 89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젠슨의 논문은 양날의 칼이었다. IQ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지만 인종차별주의자들에게 널리 활용됐다. 이 논문에서 젠슨은 암기 위주의 1단계 평가와 추상적 사고를 동반한 2단계 평가로 나눠 다양한 인종의 IQ를 테스트했다. 실험 결과 젠슨은 1단계 평가에서는 인종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2단계 평가에서는 백인이 흑인보다 일반적으로 우수했고, 아시아인이 백인보다도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같은 결과를 근거로 젠슨은 인간의 지능이 대부분 유전적 요인에서 비롯되며 문화나 교육을 통한 지능 향상은 좀 더 영향력이 낮다고 주장했다. 젠슨의 주장은 전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백인들은 흑인들이 노동자 계급이 된 것엔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며 환호했고, 반대편에서는 우생학의 재림이자 인종차별주의자라며 젠슨을 비판했다. 끊임없는 생명의 위협도 받았다.

오늘날 인종에 따른 지능 차이는 그의 이름을 따 ‘젠스니즘’으로 불린다. 하지만 젠슨은 실제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었다. 오히려 우생학에 대한 반발로 환경이 모든 지능을 결정한다는 비과학적 주장이 힘을 얻고 있을 때, 유전과 환경의 조합이 지능을 결정한다는 과학적 주장을 제시하면서 수많은 연구의 효시가 됐다. 물론 1994년 발표된 리처드 헌스타인과 찰스 머레이의 ‘벨 커브’처럼 극단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벨 커브’는 지능지수로 사람을 나누면 그 분포가 종 모양을 이루고, 저능아의 대부분이 흑인이라고 서술해 베스트셀러가 됐다.

제임스 플린 뉴질랜드 오타고대 교수는 “사회적인 논란을 낳을 수 있는 문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용기를 보여준 젠슨은 진정한 과학자였다.”면서 “오늘날 지능에 대해 과거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사실들이 밝혀졌지만, 젠슨의 이론 자체를 완벽하게 부정할 수 있는 결과는 없다.”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11-06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