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탄 ‘기부보험’

불황 탄 ‘기부보험’

입력 2012-10-25 00:00
업데이트 2012-10-2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당국·업계 무관심 겹쳐… 수익자 공인기관 한정도 원인

지난 8월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직장인이 된 윤모(26·여)씨는 구직활동에 도움을 줬던 교수와 학교 측에 보답하는 뜻으로 기부보험에 가입했다. 한 달 보험료가 2만원이라 부담이 적은 기부전용 상품(통합 유니버설종신보험)을 골라, 만기 수익금 1300만원을 전액 모교에 기부하기로 했다. 같은 학교 졸업생인 남자 친구 역시 매달 1만원씩 20년 납입해 총 600만원을 학교에 기부할 예정이다. 큰돈은 아니지만 의미 있는 일에 가치 있게 돈을 쓰고 싶다는 생각에서다.

경기도에 사는 직장인 김모(32)씨는 최근 사망보험에 가입하면서 ‘자장면 기부천사’ 고(故) 김우수씨를 떠올려 보험금의 10%를 사후 기부금으로 쓰기로 했다. 김씨가 사망하면 보험금 5000만원 가운데 4500만원은 유족에게, 나머지 500만원은 복지단체에 돌아간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윤씨와 김씨처럼 보험에 기부를 접목시킨 이른바 ‘기부보험’에 관심을 기울이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경기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기부보험 가입 건수도 급격히 줄고 있다.

기부보험은 만기 시 수익금을 기부하는 형태로 특정 상품에 가입하는 것 외에도 사회복지단체나 의료·종교단체, 학교 등을 보험수익자로 지정하고 보험료를 납부하다 사망, 상해 등 보험사고가 발생하면 보험금을 해당 단체에 돌리는 형태로 운용된다.

24일 서울신문이 국내 24곳 생명보험사의 최근 3년간 기부보험 가입 현황을 파악한 결과 가입 건수는 2009년 총 8296건에서 2010년 1만 3041건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5930건으로 55%나 감소했다. 1년 새 ‘반 토막’ 난 셈이다.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및 실업률 증가, 하우스푸어 확산 등 경기 침체 여파로 매달 돈을 내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개인이 늘면서 보험가입이 급격히 줄어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험업계나 금융당국의 외면도 가입 감소세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난 3월 금융감독원은 가입자가 보험료 일부를 떼고 보험사도 같은 금액을 내놔 매칭 형태로 기부하는 ‘1+1 기부제도’를 5월에 도입하겠다고 밝혔지만 흐지부지된 지 오래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금감원이 업계 사정을 생각지 않고 강압적으로 발표한 것”이라면서 “사회공헌활동을 대규모로 하고 있는 터라 이중으로 부담이 돼 다들 포기했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보험사들이 당초 취지와 달리 가입자가 보험료 외에 기부금을 별도로 내도록 바꾸거나 수익자를 공인된 기관만 지정할 수 있게 하고 관련 특약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것도 (기부보험) 실적이 떨어지는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아름다운재단이 지난 6~7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기부 참여율은 2011년 57.5%로 2009년 55.7%보다 증가했다. 장(場)만 잘 만들어 놓으면 더 많은 기부를 끌어들일 수 있다는 얘기다.

매칭기부제뿐 아니라 기부보험 자체에 무관심한 보험사들의 태도도 문제다. IBK연금보험이 국방부 전용으로 수입보험료의 0.5%를 장학재단에 기부하는 ‘군인연금’ 상품을 연말쯤 출시할 예정이지만 다른 보험사들은 새 상품 출시 계획이 거의 없다. 24개 생보사 중 기부보험 상품이 있는 곳도 6곳에 불과하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2-10-25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