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탈(脫)박정희도, 국민통합도 실천이 관건이다

[사설] 탈(脫)박정희도, 국민통합도 실천이 관건이다

입력 2012-09-25 00:00
업데이트 2012-09-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부친 박정희 체제의 그늘 앞에서 머리를 숙였다. “5·16과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이 헌법 가치를 훼손하고 대한민국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규정하고, “이로 인해 상처와 피해를 입은 분들과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들의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국민대통합위원회를 구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의 사과가 아니더라도 박정희 체제 18년이 남긴 고도 압축성장의 빛과 반민주 독재의 그늘은 반세기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 사회의 구석구석에 뚜렷한 명암으로 아로새겨져 있다. 그의 다짐이 아니더라도 박정희 체제가 남긴 아픔과 상처는 진정한 사회 통합과 새로운 시대 진입을 위해 반드시 치유하고 가야 할 역사적 과제다. 그런 점에서 박 후보의 사과는 박정희 체제 공과에 대한 논란의 종지부가 아니라 그 체제가 잉태한 그늘을 거두어 내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믿는다.

과거 5·16을 구국의 혁명이라 했고, 지난 7월에도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라 했던 박 후보가 새삼 헌법가치 훼손과 정치발전 지연이라는 표현으로 보다 진전된 사과의 뜻을 밝힌 데는 최근의 민심 동향이 적지 않게 작용했다고 본다. 지지율 하락세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하고 추석 전에 과거사 논란에 대해 전향된 자세를 보일 필요성을 느꼈을 법하다. 과거 그 어떤 발언보다 진일보했다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인혁당 사건 피해 유족들이 환영의 뜻을 유보한 것도 결국 그의 사과에 정치적 득실에 대한 계산이 담긴 것으로 비쳐지기 때문일 것이다.

박 후보는 ‘과거와 현재가 싸우면 미래를 잃는다’는 윈스턴 처칠의 경구를 인용하며 여야 각 후보와 정파가 과거사 논쟁보다는 다음 정부의 정책 과제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할 것을 호소했다. 옳은 말이다. 그러나 과거와 현재를 화해시킬 진정한 용서는 피해자의 몫이며, 이는 긴급조치 9호와 같은 반헌법적 사건이나 장준하 의문사와 같은 의혹들을 하나씩 풀어내고 보듬는 작업들이 이뤄질 때 가능한 일이다. 박정희 체제에 대한 치유는 결코 선거 때만 등장했다가 사라지는 정치 공방의 소재가 돼선 안 된다. 그런 점에서 야당도 긴 역사적 안목에서 균형 잡힌 과거사 정리에 동참하는 지혜를 내보이기 바란다.

2012-09-2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