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박태환과 쑨양의 악수/이도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박태환과 쑨양의 악수/이도운 논설위원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31일 런던 올림픽 남자 수영 자유형 200m 결승이 끝난 직후 공동 2위를 차지한 한국의 박태환과 중국의 쑨양이 물 속에서 숨을 헐떡이며 손을 맞잡았다. 단순한 악수라기보다는 오른손을 굳게 잡고 서로를 격려하는 모습이었다. TV를 통해 그 모습을 지켜보며 의외라고 느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두 선수가 금메달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라이벌이었고, 그 때문에 한·중 두 나라의 언론과 스포츠 팬들도 적지 않은 신경전을 벌여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태환과 쑨양은 경기에서 최선을 다하면서도 상대 선수를 존중하고, 결과를 인정하는 스포츠 정신 또는 올림픽 정신을 행동으로 보여준 셈이다.

박태환과 쑨양의 맞잡은 손은 단순히 스포츠 정신을 넘어서는 또 다른 상징성을 갖는다. 남자 수영, 특히 자유형은 미국과 유럽·호주 등 서양 선수들이 압도해 왔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당시 일본의 데라다 노보루가 15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지만, 단·중거리에서는 한번도 서양인이 우승을 넘겨준 적이 없다. 그런 장벽을 처음 넘어선 인물이 바로 박태환이었다. 박태환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자유형 400m에서 우승한 데 이어 200m에서도 은메달을 차지했다. 특히 박태환은 183㎝의 ‘작은’ 키로 2m 안팎의 선수들과 경쟁하면서도 올림픽 2회에 걸쳐 4개의 금·은 메달을 획득하는 경이로운 기록을 남겼다. 쑨양은 그런 박태환을 우상으로 생각한다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당시 말했다.

쑨양은 박태환에 이어 올림픽 자유형 400m에서 우승한 두번째 아시아 선수가 됐다. 또 200m에서 은메달을 딴 데 이어 주종목인 1500m에서도 1위가 유력하다. 쑨양은 198㎝로 키에서는 밀리지 않지만 서양인에 비해 떨어지는 근력을 훈련으로 극복해온 선수다. 먹고 자는 시간 말고는 훈련만 했다고 한다. 쑨양의 그런 노력을 알기 때문에 박태환도 존경심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박태환은 400m 결승이 끝난 뒤 “같은 아시아 국가 선수가 금메달을 따서 기쁘다.”고 말했다. 또 200m에서 쑨양과 공동으로 은메달을 딴 뒤에도 “다른 나라 선수라면 모르겠는데 같은 아시아 선수니까 나눠가져도 좋은 것 같다.”면서 “아시아 선수가 자유형에서 둘씩이나 메달을 딴다는 것은 예전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이라고 말했다. 아시아 선수로서 외롭게 서양 선수들과 경쟁하면서 경험한 어떤 느낌들이 박태환으로 하여금 쑨양을 응원하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08-02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