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수훈자 명예 찾아드려 보람”

“6·25 수훈자 명예 찾아드려 보람”

입력 2012-06-25 00:00
업데이트 2012-06-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전용사 68명 무공훈장 찾아준 홍성태 예비군 면대장

“참전용사들의 무공훈장을 찾아드리는 일이야 말로 예비군 지휘관들이 해야 할 일입니다.”

6·25 전쟁 당시 혁혁한 공을 세워 무공훈장 수훈자로 선정되었으나 지금까지 이를 잊고 살아온 참전용사 68명에게 무공훈장을 찾아준 예비군 지휘관이 화제다. 주인공은 육군 50사단 소속으로 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면대장 홍성태(51)씨다. 예비군 면대장만 13년째인 홍성태씨는 지난 2009년 강구면 면대장으로 재직하며 육군본부로부터 무공훈장 수훈대상자 12명의 명단을 통보받고 이들의 신원을 추적해 수훈자 5명을 찾았다.

이미지 확대
홍성태(왼쪽) 축산면대장이 21일 무공훈장 수훈자인 김도현(85) 옹을 찾아 6·25전쟁 당시 활약상에 대해 듣고 있다.  육군 제공
홍성태(왼쪽) 축산면대장이 21일 무공훈장 수훈자인 김도현(85) 옹을 찾아 6·25전쟁 당시 활약상에 대해 듣고 있다.
육군 제공
“찾고 보니 10년전 작고한 상이용사 한 분이 무공훈장을 두 개나 받으셨습니다. 그분이 동네에서 평소에 술 마시고 행패부리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그 아들이 돌아가신 아버지가 수훈자라는 사실을 알고 기뻐하는 것을 보고 보람을 느꼈죠.”

홍씨는 “이분이 훈장받은 사실이 생전에 알려지도록 좀더 빨리 찾았더라면 삶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무공훈장을 찾아드려 수훈자들이 잃어버린 명예를 찾아드려야겠다고 다짐했다.”고 말했다.

홍씨가 최근에 찾은 수훈 대상자는 김도현(85)옹이다. 김 옹은 이름과 군번에 기록이 잘못돼 지금까지 수훈 대상자인지 모르고 살아왔다.김도현 옹의 도(燾)가 수(壽)로 기록돼 수훈명부에는 김수현으로, 군번은 1640번이 1648번으로 잘못 적혀 있었기 때문이다. 홍 면대장은 “6·25 당시 일일이 수기작업으로 병적 기록 등을 작성하다 보니 틀린 내용이 많았다.”면서 “과거 10년이 지난 전화번호부를 확보해 검색하고 문중이나 마을 이장 등 연고가 있는 분들을 통해 수차례 수소문해 역추적해냈다.”고 비결을 밝혔다.

하종훈기자 artg@seoul.co.kr

2012-06-2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