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해자도 피해자도 ‘이것도 성희롱인가?’

가해자도 피해자도 ‘이것도 성희롱인가?’

입력 2012-04-16 00:00
업데이트 2012-04-16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 “사회적 경각심 낮아… 교육 다양화 시급”

사회적으로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성희롱이나 성추행에 대해서는 여전히 둔감한 사람들이 적지 않다. 성희롱이나 성추행 역시 피해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안기는 성폭력이지만 심각성을 덜 느끼는 것이 현실이다. 극악무도한 성범죄에는 공분하면서도 여전히 일상에 만연한 성폭력이라는 불편한 진실에 대해서는 눈감고 있는 셈이다.

피해자들은 누군가의 말과 행동에 불쾌함을 느끼면서도 선뜻 성희롱이라고 인식하고 적극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 회사원 송모(28·여)씨는 얼마 전 회식 자리에서 술에 취한 직장 상사가 자신을 껴안고 춤을 췄다. 송씨는 “불쾌했지만 성희롱인 줄 몰라 문제 제기를 못 했다.”고 털어놓았다.

가해자들도 마찬가지다. 무심코 내뱉은 말에 의도치 않게 성희롱 가해자가 되곤 한다. 서울의 한 대학 A교수는 지난해 강의를 하다 학생들이 따분해하는 모습에 “세상에서 짧을수록 좋은 것은 강의와 여자의 치마”라고 말했다. 며칠 뒤 한 여학생이 메일을 보내 항의하자 A교수는 “성희롱이 될 줄 몰랐다.”면서 “여성 인권에 무지한 사람은 아니라 생각했는데 미안하다.”고 공개사과했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피상적인 성희롱 예방교육으로는 바꿀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고 지적했다. 성교육의 내용도, 형식도 전면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가장 시급한 부분은 성희롱 예방교육 방식의 변화다. 이호숙 한국성희롱예방교육전문강사협회 상임이사는 “예방교육의 핵심은 성평등 인식을 심어 주는 것”이라면서 “역할극을 통해 성평등 인식을 스스로 깨닫고 배울 수 있는 교육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강의에서 벗어나 소규모로 개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김두나 한국성폭력상담소 활동가는 “대형 강의실에 100명 이상의 인원을 몰아넣고 진행하는 대규모 강의는 효과가 떨어진다.”면서 “직급별·직종별로 저지르거나 겪을 수 있는 성폭력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 대상을 다양하게 나누고 개별화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예방교육이 유명무실해지지 않도록 사후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낭미 한국여성민우회 활동가는 “여성가족부에 보고한 내용과 다르게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거나 형식적으로만 해 놓는 회사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정부 당국이 나서서 관리감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진아·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2-04-16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