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토 학교’ 교육 대신 보육만 떠안았다

‘놀토 학교’ 교육 대신 보육만 떠안았다

입력 2012-04-03 00:00
업데이트 2012-04-03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선된 것은 참여율뿐?’ 전면 실시된 주 5일 수업제가 지난달 31일로 한달을 맞았다. 강사 부족이나 학생들의 토요프로그램 외면 등 준비 소홀로 인한 시행 초반의 문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적극적인 독려와 일선 학교의 노력 덕분에 상당부분 개선됐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가정교육 활성화’라는 당초 취지와 달리 사실상 주6일제라는 푸념이 나오고 있다. 상당수 학생들이 사교육으로 몰리면서 학생들의 학습부담은 오히려 늘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과부에 따르면 3월 마지막 토요일이었던 지난달 31일 토요프로그램 참가 학생은 147만 2939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초·중·고교생의 21.1% 수준이다. 참가학생은 주 5일 수업제 시행 첫날인 지난달 3일 8.8%에서 13.4%(10일), 18.4%(17일), 20.0%(24일) 등 꾸준히 올라 안정을 찾아가는 모양새다. 교과부 관계자는 “토요프로그램에 전체 학생의 3분의1가량을 소화하겠다는 당초 목표에는 못 미치지만 첫 시행 한달 성과치고는 괜찮은 편”이라고 자평했다. 하지만 이런 외형적인 안정세와는 달리 일선 학교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서울지역 한 초등학교에서 토요프로그램 업무를 담당하는 H(39·여) 교사는 주 5일 수업제가 시행된 뒤 토요일 업무가 2배 이상 늘었다고 호소했다. H교사는 매주 토요일 오전 8시까지 학교에 출근해 토요프로그램 참가 학생을 일일이 파악해 오전 10시 해당 교육청에 보고한다. 출석한 학생들은 물론 학교 밖 지역사회기관의 토요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까지 모두 파악해야 한다. A교사는 “참가 학생수와 프로그램 세부 내용까지 파악하는 데 반나절 이상이 걸린다.”고 꼬집었다.

서울의 또 다른 초등학교 S(28·여) 교사도 “매주 토요일 교사와 아이들이 모두 학교에 나오는데 주 5일제 수업이라는 명칭이 어울리느냐.”면서 “토요일 수업이 빠지면서 방학도 줄고 평일 수업시수가 늘어나는 등 교사도 학생들도 모두 힘든 제도가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에 격주 수업에 비해 요즘 토요일에 학교에 나오는 학생이 더 많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주 5일제 수업의 근본 취지인 가정교육 강화나 학습부담 경감을 위한 노력보다 단순히 토요일 수업의 공백을 메우려고 마구잡이식으로 정책을 쏟아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부담만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성삼 건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기관인 학교에다 토요일에는 보육기능까지 떠맡도록 하다 보니 격주로 ‘놀토’를 운영할 때보다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훨씬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건형·윤샘이나기자 kitsch@seoul.co.kr

2012-04-03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