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남과 북, 축구로 화해하자/신동호 시인

[문화마당] 남과 북, 축구로 화해하자/신동호 시인

입력 2011-12-29 00:00
업데이트 2011-12-29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동호 시인
신동호 시인
북방의 친구들이 분주해 보인다. 자신들의 지도자가 급서했으니 내심 불안한 마음도 없지 않으리라. 두만강을 쩡쩡 얼게 만든 바람이나 중강진 쪽으로 눈발을 실어가는 먹구름 같은 시절이다. 정부의 조의문처럼 나 또한 그동안 남북교류를 통해 인연을 맺은 북녘의 친구들에게 위로의 말을 건네고 싶다.

남쪽도 분주하긴 마찬가지다. 불편한 이웃이라지만 산맥으로, 강으로 이어진 혈족이니 어찌 그들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을 수 있을까. 대책회의와 분석이 계속되고 때로 근거 없는 예측이 난무하지만 그 또한 샴쌍둥이의 운명에서 비롯된 관심이리라. 빨라진 심장의 고동소리가 괴롭지만 그들을 죽음으로 내몰 순 없다.

그들이 죽고 우리가 살 수 없으며 그 어떤 발달된 의술로도 떼어낼 수 없는 게 국토다. 화해와 협력은 멈출 수 없으며 그들의 마음을 올바로 헤아리는 건 그래서 중요하다. 북한은 그들만의 독특한 문학과 예술의 나라다. 그들은 어릴 때부터 노래를 부르며 당을 배우고 수령을 흠모한다. 그들은 예술소조에서 악기를 연주하고, 문학통신원으로 시를 쓰면서 체제에 동화되어 간다.

우리는 좋은 작품을 감상하지만 그들은 직접 작품 창작에 참여하면서 체제에 더 깊숙이 관여한다. 그들의 선전선동 방법이다. 집단공연 ‘아리랑’에 10만명의 출연자가 등장하는 건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동원을 넘어 체제를 결속하는 고도의 예술적 효과다. 북한의 문학예술을 주도한 사람이 바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었다. 1967년 그는 문학예술 부부장으로 조선노동당의 일을 본격적으로 시작했고 1972년 선전선동 부장이 된다.

한 해 전 혁명가극 ‘피바다’를 초연하면서 북한의 예술은 완전히 새로운 틀로 정착했다. 이미 1958년 5·8 종파투쟁을 통해 ‘김일성주의’의 등장을 예고하면서 무용가 최승희, 작가 한설야 등 구시대의 예술가들이 숙청되어 창작 일선에서 사라졌다. 남과 북의 문화가 각자 다른 길을 걷기 시작한 시발점이기도 했다.

우리는 흔히 문화교류를 다른 영역보다 쉽게 여기지만 남북 간에 문화교류가 어려운 건 이런 까닭이다. 우리의 문화가 개성을 존중하고 자유로운 사고의 영역으로 발달할 때, 북한의 문화는 사상의 영역이면서 동시에 언론과 학습의 영역으로 발달했다. 작가의 삶이 다르며 작품의 가치 척도가 다르니 이를 봉합하는 데 애를 먹는 건 당연했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를 알림과 동시에 등장한 것이 축구여서 안심이다. 모든 사상과 이념을 푸른 잔디밭에 뭉뚱그리는 것이 축구 아닌가. 유럽의 축구는 전쟁을 대신할 정도로 치열하지만 반면 분쟁을 보듬는, 아름다운 기능을 한다. 우리의 축구라고 흡수통일론이나 주체사상이 담겼을 리 없다.

지난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축구대회 본선에 진출한 북한은 대부분의 공을 김정은에게 돌리고 있다고 들었다. 1970년대 우리의 가난한 시절처럼 축구를 비롯한 스포츠를 통해 인민을 위안하고 체제를 결속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김정은이 아직 젊고 불안하다지만 적어도 그가 문학예술을 내세운 아버지의 시대와 달리 스포츠를 앞세워 손을 내민다면 흔쾌히 잡아주어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한다. 축구를 이용해 선전선동한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올 2월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중국 쿤밍에서 ‘인천평화컵 유소년 축구대회’를 개최했다. 운동장에서 몸을 부딪치며 우정을 나눈 인천유나이티드의 소년들과 북한의 소년들이 평화를 만들어 가리란 기대가 충만한 대회였다. 지난달 카타르 도하에서는 ‘피스 앤드 스포츠 탁구컵’이 열려 남북단일팀이 깜짝 우승을 했다. 서울시도 ‘경평축구’를 추진한다는 소문이다.

따뜻한 봄날이 되면 북방 친구들의 슬픔이 잦아지리라. 평양 순안공항 양지바른 곳에서 여자축구 우승을 자랑하던 그들의 웃음소리도 듣고 싶다. 잔디가 파릇하게 올라올 무렵, 우리 정부가 먼저 축구 교류를 제안하는 건 과연 안 될 일일까.

2011-12-29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