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기회가 있고 변화가 가능한 사회/장제국 동서대 총장

[열린세상] 기회가 있고 변화가 가능한 사회/장제국 동서대 총장

입력 2011-12-07 00:00
업데이트 2011-12-07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제국 동서대 총장
장제국 동서대 총장
최근 우리사회가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다. 제도권은 철저히 무시당하고 있고, 링 밖의 실체 없는 선수들이 주목을 받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제도권에서 발신하는 정보는 곧바로 ‘비아냥’의 대상이 되어 희화화되고 있다. 건전한 비판이라기보다는 ‘허무주의’에 가까운 비웃음이 주를 이룬다. ‘비아냥’ 한마디에 카타르시스를 느끼며 ‘까르르’ 웃는 젊은이들의 모습이 이젠 전혀 낯설지 않다. 우리사회 권위의 중심축이 급속히 비제도권으로 이동하고 있다. 제도권은 이 중심축을 다시 돌려놓을 생각은 않고, 오히려 비제도권에 질질 끌려다니며 편승하려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비제도권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그들 한마디에 일희일비하는 주객전도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제도권 입장에서는 참으로 자존심 상하는 일일 것이다. 국민들이 직접 국민의 대표로 뽑아준 사람들은 다름 아닌 바로 그들 자신이기 때문이니 말이다.

문제의 본질은 누가 대선에 나오고 안 나오고 하는 것에 있지 않다. 요즘 인기 상한가인 한 사람의 입에 모든 것을 건다면, 그것은 제도권의 몰락을 스스로 재촉할 뿐인 것이다. 제도권 권위 회복의 유일한 길은 뒤숭숭해진 국민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는 것이다. 특히, 젊은 층의 고민을 들을 수 있는 큰 귀를 가지는 것과 그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설명하는 소통이 핵심이다. 그렇다고, 실천하지도 못할 달콤한 말로써 그들에게 ‘아부’나 떨라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설픈 ‘아부’는 금방 바닥을 드러낼 것이고, 곧바로 재기불능의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대학에서 근무하다 보니 젊은이들과 만날 기회가 많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해야 겨우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현재의 처지도 무척 답답하지만, 그보다 지금의 어려움을 잘 감내하고 열심히 하기만 하면 밝은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데 더 큰 고민이 있다는 것이다. 사실, 과거에는 이를 악물고 열심히 살면 그래도 인생 역전이 가능했던 사회였다. 현직 대통령을 비롯해 현재 우리사회에서 높은 지위에 올라가 있는 사람들은 거의 모두가 그런 인생역전의 주인공들이 아닌가.

지금 이시대의 가장 큰 문제점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있다. 과거 신분 상승의 지름길이라던 법조계 진출도 이젠 로스쿨에 드는 비용을 마련하지 못하면 아예 원서도 못 낼 판이다. 대학을 나와도 대학 졸업생에게 걸맞은 ‘폼 나는’ 직장을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가 된 지 오래다. 눈높이를 낮추고 적당한 곳에 취직하라는 말은 그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이미 이들의 눈을 높아지도록 만들어 놓고 어떻게 낮추라고 강요할 수 있단 말인가. 영어사전을 찾아보면, 기회(Chance)라는 단어 바로 밑에 변화(Change)라는 단어가 나온다. 마치 기회가 먼저 주어져야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상징이라도 하듯이 말이다. 젊은이들에게 기회라는 밧줄이 주어져야 비로소 그것을 열심히 타고 올라가 자신의 미래를 변화시키겠다는 희망을 갖게 되는 것이다.

밤새 아르바이트에 지쳐 눈이 충혈된 채로 등교하는 학생들을 붙들고 필자는 종종 “힘 내라”고 격려한다. 이들이 내는 힘이 곧 기회가 되고 그것이 자신의 꿈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라면서 말이다. 이토록 열심히 사는 젊은이들이 잘되지 못하는 사회라면, 그 사회는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사회인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사회가 지금 처해 있는 암울함에 대해 ‘비아냥’거리며 한가하게 카타르시스 놀음만 하고 있을 때가 결코 아니다. 그런 얼치기만 ‘즐기고‘ 있는 동안, 우리 젊은이들은 정말로 헤어 나오지 못할 구렁텅이로 빠져들고 말 것이다. 밤낮 허둥대고 있는 제도권 그리고 기고만장의 비제도권이 진정으로 나라의 앞날을 걱정한다면, 이들 젊은이에게 보다 구체적이고 실체가 있는 희망의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당당하게 링 위로 올라와 경쟁해야 할 것이다. 오랜 안개가 걷히고 실체가 드러날 즈음에 또 한번 멍하니 허공만 쳐다보아야 하는 상황이 올까 심히 두려운 것은 필자만이 느끼는 과도한 걱정일까.

2011-12-0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