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연정책 공격하는 담배회사에 맞서라”

[사설] “금연정책 공격하는 담배회사에 맞서라”

입력 2011-11-26 00:00
업데이트 2011-11-26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계보건기구(WHO)가 “각국 정부의 금연정책을 무력화하려는 거대 담배 제조업체들에 맞서 국제사회가 뭉쳐야 한다.”고 촉구했다. WHO의 마거릿 챈 사무총장은 “담배회사들이 흡연 관련 질병을 줄이려는 조치를 취하는 정부를 공격하고 있다.”면서 호주, 우루과이, 노르웨이, 미국 정부를 예로 들었다. 말버러 등을 생산하는 다국적 담배 업체 필립모리스는 지난 21일 강력한 금연 규제법안을 통과시킨 호주 정부를 상대로 법적 대응에 나섰다. 내년 12월에 발효되는 호주 정부의 새 법안이 담뱃갑 포장지에 회사 로고와 브랜드 이미지 사용을 금지하고 소비자들이 싫어할 것으로 예상되는 황갈색을 사용하도록 규정했다는 이유다. 미국에서는 지난 8월 R J 레이놀즈 등 4개 담배회사가 흡연의 위험성을 알리는 경고 사진을 담뱃갑에 부착하도록 한 규정이 표현의 자유에 위배된다며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도 담배회사들에 맞서는 WHO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청소년과 여성의 흡연율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여성가족부의 조사에 따르면 남학생의 13.9%, 여학생의 4.8%가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들은 중학교 1~2 학년 나이인 평균 13.9세에 최초의 흡연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아산병원이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성인 여성의 흡연율이 설문조사에서는 6%로 나타났지만, 소변 검사를 하자 두 배가 넘는 14%로 드러나기도 했다. 특히 30대 미만 여성은 네 명 가운데 한 명이 담배를 피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수치로 볼 때 정부는 청소년과 여성을 상대로 한 금연 캠페인을 더욱 적극적으로 펼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국내와 외국의 담배 업체들이 공격을 가하더라도 정부는 과감하게 맞서야 할 것이다.
2011-11-26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