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학우단가’ 조국서 장엄하게 울려

‘신흥학우단가’ 조국서 장엄하게 울려

입력 2011-11-25 00:00
업데이트 2011-11-2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상의 세우신 옛나라 어디메뇨… 충용한 무리야 그 은혜 끝까지 잊으랴”

신흥무관학교100주년기념사업회가 주최하고 항일음악회조직위원회·민족문제연구소가 주관하는 신흥무관학교 설립 100주년 기념 ‘항일음악회’가 24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용산구 청파동 숙명아트센터에서 열렸다.
이미지 확대
신흥학우보에 실린 신흥학우단가의 가사.
신흥학우보에 실린 신흥학우단가의 가사.


●‘조선의 노래’ ‘애국’ 등 잇따라 무대에

항일음악회는 1911년 신흥무관학교 설립 전후부터 광복 때까지 의병과 독립군들이 불렀던 대표적인 항일음악들을 전문 성악가들과 합창단, 군악대의 노래와 연주로 재구성했다.

음악회는 메조 소프라노 정유진(명지대 강사)의 ‘조선의 노래’(이은상 작사·채동선 작곡)로 막이 올랐다. 이어 바리톤 유훈석(중앙대 강사)의 ‘애국’(작사 미상·헨리 케리곡), ‘혁명가’(작사·작곡자 미상) 등이 잇따라 무대에 울려 퍼졌다. 코리아남성합창단은 ‘애국가’(작사 미상·스코틀랜드 민요), ‘대한소년기개’(작사 미상·스테프 곡) 등을 불렀다.

이어 수도방위사령부 군악대와 코리아남성합창단이 ‘대한제국 애국가’(작사 미상·프란츠 에케르트 곡)와 ‘신흥학우단가’(신흥학우단 제정·포스터 곡)를 불렀다. 특히 “조상의 세우신 옛나라 어디메뇨/ 충용한 무리야 그 은혜 끝까지 잊으랴….”로 시작하는 신흥학우단가는 국악계 원로인 노동은(중앙대 국악대) 교수에 의해 올해 처음 발굴<서울신문 11월 14일자 1면>돼 이날 고국의 무대에서 처음 선을 보였다. 신흥학우단가는 1916년 12월 26일 신흥학우단 강습소에서 열린 10회 정기총회에서 정식 단가로 의결된 곡으로, ‘스와니강’으로 유명한 미국 작곡가 포스터의 ‘The Old Folk At Home’(고향사람들)의 곡을 차용했다.

●독립군 2100여명 배출… 국군의 뿌리

대한민국 국군의 뿌리인 신흥무관학교는 1911년 4월 신민회(新民會) 회원인 이회영·이동녕·이상룡 선생 등이 중국 지린성에 세운 항일 군사교육기관이다. 신흥강습소로 시작해 자리를 옮겨 다니며 신흥무관학교로 이름을 바꿨으며, 1920년 문을 닫을 때까지 2100여명의 독립군을 배출했다. 지청천·이범석 장군 등이 학교 교관으로 활동했으며, 이 학교 출신 독립군은 1920년 청산리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기도 했다.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신흥무관학교 설립 100주년인 올해 기념 음악회를 가져 뜻깊다. 앞으로도 신흥무관학교의 의미가 잊혀지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1-11-2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