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 취업난에…로스쿨생도 양극화시대

[Weekend inside] 취업난에…로스쿨생도 양극화시대

입력 2011-11-19 00:00
업데이트 2011-11-19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졸업생도 취업 캄캄 지방대 ‘눈물’…2학년생 입도선매 서울대 ‘미소’

“취업했다는 사람이 120명 중 3명밖에 없어요. 불안하죠. 3년이나 투자하고 나서 실업자가 될 수도 있는데….”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1학년 강모(30)씨는 아직 2년이라는 기간이 남아 있지만 졸업 이후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내년 2월 첫 로스쿨 졸업생이 배출된다.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2235명 가운데 판·검사 350명을 뺀 1885명이 신규 변호사로 뛰는 것이다. 앞으로 10년간 1만 6215명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법률 인적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홀로 서기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미지 확대
실제 서울대 등 일부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로스쿨 졸업생들은 아직 갈 곳을 정하지 못했다. 게다가 서울과 지방, 서울대와 비서울대로 취업 양극화 현상도 가시화되고 있다.

서울대 로스쿨이 19일 개최하는 취업박람회는 로스쿨의 ‘적자생존’ 현실을 가감없이 보여 주고 있다. 서울대 로스쿨은 2학년을 대상으로 ‘제2회 SNU Law 인재마당’을 열기로 했다. ‘인재마당’에는 김앤장, 태평양, 세종, 광장, 율촌, 화우, 바른, 원, 로고스 등 대형 로펌 13개 로펌과 인터넷 게임업체 엔씨소프트가 참여할 예정이다. 로스쿨 학생들은 해당 로펌에 서류를 제출, 면접을 통과하면 인턴십을 밟는다. 엔씨소프트도 인턴을 채용하기로 했다.

서울대 로스쿨 측은 “지난여름에 3학년을 대상으로 인재마당을 개최했는데 호응이 좋았고 좀 더 일찍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많아 2학년을 대상으로 겨울방학 전에 개최하게 됐다.”면서 “인턴십에 합격한 학생은 특별한 문제가 없는 이상 80~90% 정도는 해당 로펌이나 기업에 취업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울대 로스쿨의 한 재학생도 “미국에서는 2학년 때 면접을 보고 인턴십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라면서 “서울대 로스쿨 출신이 취업에서 유리하다고 하지만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그러나 서울대 로스쿨의 인재마당에 대한 다른 대학들의 시선은 곱지 않다. 대형 로펌의 자리를 ‘입도선매’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양대 로스쿨 관계자는 “대형 로펌에서는 인턴십 비용을 줄이고 서울대 입장에서는 좋은 자리를 먼저 차지하는 것”이라면서 “로스쿨 제도가 정착된 미국에서는 일반적인 방법이라지만 1회 졸업생들이 극심한 취업난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에서 그다지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국외대 로스쿨 재학생도 “서울대 측에서는 다른 대학도 하라고 이야기하겠지만 대형 로펌들을 모아 취업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서울대라는 간판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면서 “안 그래도 취업에서 양극화가 우려되는 판에 양극화를 더 부채질하는 처사”라고 꼬집었다.

서울대 로스쿨의 발 빠른 조치를 탓할 게 아니라 공공기관의 문호를 개방하는 것이 해법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마지막 사법연수원 수료자가 나오는 2020년까지 해마다 쏟아지는 1400~1800여명의 신규 변호사를 정부 차원에서 수용해야 한다는 논리다. 즉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등 공공기관에서 변호사들의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화여대 로스쿨의 한 교수는 “서울대가 2학년생을 대상으로 취업 행사를 갖는 것보다 공공기관의 문이 열리지 않는 게 더 문제”라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11-19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