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 한조각으로 돌아온 6·25 참전용사

뼈 한조각으로 돌아온 6·25 참전용사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버지·어머니 평안하게 계시오. 38선 넘어 백두산 상봉에 태극기 날리며 죽어서 뼛골이나 돌아오리다.’

6·25 전쟁 당시 20대 초반의 갓 결혼한 가장, 강태조 일병은 아내와 태어난 지 100일이 갓 지난 아기에게 이런 제목 없는 노랫말을 들려주고 전장으로 떠났다. 장남인 형을 대신해 전쟁터로 나선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전사통지서 한 장만 가족들에게 남겼을 뿐 어느 전장에서, 어떻게 스러졌는지 알 수도 없었다. 그런 그가 61년 만인 17일 이젠 회갑을 넘긴 딸의 품으로 유해가 되어 돌아왔다. 그가 남긴 노랫말이 현실이 되어 버린 셈이다.

2009년 5월 강원 인제 한석산 전투 현장 인근에서 발굴한 무릎뼈 한 조각에서 확인된 DNA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 비교 감식을 해서 신원을 확인하면서다. 딸 강춘자(61)씨가 지난해 6월 아버지를 찾기 위해 지역 보건소에 유전자 정보를 남겨놔서 가능한 일이었다. 강씨는 “아버지가 돌아오다니 꿈만 같다.”면서 “아버지가 입대하며 불렀다는 이별 노래를 평생 내게 들려준 어머니의 한이 이제는 좀 풀린 것 같다.”고 덧붙였다.

유해발굴감식단은 고(故) 김영석 일병의 유해도 가족 품으로 돌려보냈다.

김 일병은 1951년 9월 강원 양구에서 북한군과 치열하게 다퉜던 백석산 공방전 때 숨진 것으로 추정됐다. 김 일병은 인식표가 함께 발굴돼 이름과 군번을 단서로 아들 김인태(63)씨를 찾아 DNA 검사로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방부는 2000년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에 나서 지금까지 6000여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하지만 인식표가 함께 발굴된 29구의 유해를 포함해 68구만 신원이 확인돼 유가족의 품으로 돌아갔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1-11-18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