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어둬야 금리 높다? 빼고 넣어도 더 준다

묶어둬야 금리 높다? 빼고 넣어도 더 준다

입력 2011-11-09 00:00
업데이트 2011-11-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시입출금통장, 정기예금보다 금리↑

8일 현재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금리는 연 2.60~4.50%로 평균 3.00% 중반대에 머무르고 있다. 1년 동안 묶이는 예금보다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금융 상품의 금리가 낮은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일부 증권사 종합자산관리계좌(CMA)와 은행의 요구불예금 등 수시입출금 상품이 오히려 높은 금리를 제공하고 있어서 관심을 끈다. 단 좋은 대우를 받으려면 조건이 따른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 확대
미래에셋증권은 지난달 ‘CMA 플러스팩’을 내놨다. CMA 계좌로 월급 입금, 공과금 납부, 개인연금펀드 매수 등 1개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면 기본금리 연 3.20%에 2.00% 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준다. 단 예치금이 100만원 아래일 경우에만 적용된다. 예치금이 300만원 한도라면 우대금리는 1.00% 포인트다. 그 이상 금액에는 기본 금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평균 잔액이 100만원 이하일 때 유리하다.

한화증권의 ‘프리미엄스마트CMA’는 이 증권사와 최초로 거래하는 고객에 한해 6개월간 4.90%의 금리를 준다. 단 급여 이체 계좌 및 카드대금 결제 계좌로 설정해야 한다. 7개월째부터는 기본 금리인 연 3.20%가 적용된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지난 6월부터 ‘더CMA플러스’를 5000억원 한도로 선착순 특별 판매하고 있다. 다음 달이면 증권사에서 유일하게 원금과 이자를 합쳐 5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는 종금형 CMA 상품으로 남게 된다. 금리는 확정 형태인데 예치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 1~90일은 3.50%, 91~180일 3.70%, 181~270일 4.00%, 271~364일 4.20%, 365일 4.60%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한다.

은행권에서는 산업은행의 ‘KDB다이렉트 하이어카운트’를 눈여겨볼 만하다. 영업점에 가는 대신 은행 직원이 고객을 찾아와서 계좌를 개설해 준다. 거래 실적이나 예치기간, 금액에 상관없이 연 3.50%의 금리가 적용된다. 매달 이자가 계산돼 다음 달 원금에 가산되는 형태다. 하나은행의 ‘하나MMDA형 정기예금’은 가입한 뒤 3개월까지는 중도 해지해도 최고 연 2.61%의 금리를 준다. 정기예금처럼 1년을 놔두면 최고 연 4.21%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11-09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