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리뷰] 팀버레이크 주연 SF물 ‘인 타임’

[영화리뷰] 팀버레이크 주연 SF물 ‘인 타임’

입력 2011-10-28 00:00
업데이트 2011-10-28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간통제·권력비판… ‘어설픈 우화’

가까운 미래. 노화 유전자 통제에 성공한 인류는 25세 이후 더 늙지 않고 영원한 젊음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단, 인구의 지나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1년의 수명만 추가로 주어진다. 팔뚝에 시간을 표시하는 초록색 바코드를 지니고 태어나는데, 25세가 되면 1년이 카운트 다운되고 숫자가 ‘0’이 되는 순간 심장이 멈춘다. 살기 위해서는 시간을 상속받거나 벌거나, 훔쳐야 한다.
이미지 확대


윌(저스틴 팀버레이크·왼쪽)은 하루 일당으로 근근이 살아가는 빈민촌 노동자다. 어느 날 술집에서 100년 이상 더 살 수 있는 사내의 목숨을 구해준다. 하지만 영생에 회의를 느낀 사내는 ‘시간을 허비하지 마라’며 윌에게 시간을 넘기고 자살한다.

윌은 어머니와 함께 새 출발을 꿈꾸지만, 어머니는 퇴근 후 버스요금을 치를 2시간이 모자라 허망하게 죽는다. 분노한 윌은 부자들의 도시 뉴 그리니치로 침입하고, 그곳에서 금융재벌의 딸 실비아(아만다 사이프리드·오른쪽)를 만난다.

공상과학(SF) 영화 팬이라면 27일 개봉한 ‘인 타임’(In Time)에서 앤드루 니콜의 각본·연출 데뷔작 ‘가타카’(1997)의 흔적을 떠올릴 터.

유전자 조작에 의해 우월한 인간만을 탄생시키는 미래사회에서 자연 분만된 열성 유전자 인간의 분투를 다룬 ‘가타카’로 니콜은 단박에 주목받았다. ‘트루만쇼’(1998·각본)와 ‘로드 오브 워’(2005·연출 및 각본) 등에서도 시대를 앞서는 통찰력과 메시지, 드라마를 한 그릇에 담아내는 능력을 뽐냈다.

‘인 타임’도 시놉시스는 그럴 듯했다. 빈부 격차가 수명 차이로 직결되고, 이마저 대물림된다. 인구 통제를 위해 물가를 올려 빈민층의 목숨을 빼앗는다는 발상은 섬뜩하지만, 현대사회의 우화로 읽힐 법하다. 하지만 아이디어가 설득력을 얻으려면 시간을 통제하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보다 정교하게 제시됐어야 한다. 금융자본과 권력 유착을 비꼰 듯한 설정들 역시 감성적인 접근에 그친다.

중반 이후 윌과 실비아의 도주 행각이 시작되면서 영화는 걷잡을 수 없이 방향을 잃는다. 무장강도로 변신한 이들은 실비아 아버지의 시간 은행을 털어 서민들에게 수명을 나눠 준다. 어설픈 로빈후드 행각을 벌이는 이들에게 진지함은 없다.

뒤를 쫓는 공권력 ‘타임키퍼’ 역시 헛웃음을 자아낼 만큼 무능력하다. 시간은행 몇 곳이 뚫렸다고 해서 시스템이 붕괴되는 설정도 당혹스럽다. 극장을 나설 때 ‘1분 1초를 아껴라’는 영화 카피는 공허하게만 들린다. 미국 영화평점사이트 로튼토마토닷컴은 ‘인 타임’의 신선도 지수를 30%로 평가했다. 북미에서도 기대치는 그리 대단하지 않다는 얘기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0-28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