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해외 기부문화는…

[커버스토리] 해외 기부문화는…

입력 2011-09-03 00:00
업데이트 2011-09-0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기부가 사회 문화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미국에서는 록펠러에서부터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전 회장까지 많은 갑부가 자선재단 등을 만들어 교육이나 사회복지, 빈곤타파 등에 앞장서 왔다. 빌 게이츠 부부는 지금까지 약 300억 달러를 기부, ‘빌 & 멀린다 게이츠재단’을 통해 저개발국가의 복지와 교육개발 운동을 이끌고 있다. 게이츠는 지난해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과 함께 ‘기빙 플레지’라는 운동을 시작했다. 억만장자들이 재산의 절반 이상을 공익재단이나 단체에 기부하겠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하는 것으로,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과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등 7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일본은 상대적으로 기부문화가 발달해 있지 않다. 전통적으로 돈의 힘으로 튀어 보이겠다는 시도를 ‘바이메이’(賣名)라 부르며 경계한다. 동일본 대지진 발생 후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개인돈 100억엔(약 1384억원)을 쾌척하고, 대표이사 연봉 1억 8000만엔을 은퇴할 때까지 전액 기부하겠다고 약속했을 때 반응이 엇갈렸던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 연예인들이 기부 릴레이를 벌이는 동안 일본 연예인들이 잠잠했던 것도 개인보다는 소속사 등 단체명으로 기부하는 일본의 단체문화와 관련이 있다. 1970년대 일본 인기만화 ‘타이거 마크스’를 흉내낸 익명의 기부 방식도 유행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발전과 함께 기부 규모도 늘고 있다. 2005년 이전 수십억 위안 규모였던 연간 기부금 총액이 2006년 100억 위안(약 1조7000억원)을 돌파했고, 2008년 쓰촨(四川) 대지진 때에는 1070억 위안이 쌓였다. 문제는 집행의 투명성이다. 부호들의 기부 행태도 아직은 성숙하지 못했다. 중국 최고 자선가로 여러 차례 뽑힌 천광뱌오(陳光標) 장쑤황푸투자그룹 회장은 기부 약속을 하면서 위안화 뭉치로 담을 쌓고, 직접 수백 위안씩 든 돈봉투를 나눠 주는 ‘이벤트’를 벌이기도 했다.

도쿄 이종락·베이징 박홍환특파원

jrlee@seoul.co.kr
2011-09-0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