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년만에 이승만 동상… 보·혁 갈등

51년만에 이승만 동상… 보·혁 갈등

입력 2011-08-26 00:00
업데이트 2011-08-2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1년만에 서울 남산에 다시 세워진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을 놓고 보수와 진보 단체가 갈등을 빚고 있다. 보수 진영은 “대한민국 역사를 바로 잡는 일”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진보 진영은 “역사를 왜곡하는 일”이라고 맞서는 형국이다.

이미지 확대
한쪽선 제막식… 한쪽선 반대집회
한쪽선 제막식… 한쪽선 반대집회 25일 서울 중구 장충동 자유총연맹 광장에서 보수단체 회원 등이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 제막식을 갖고 있다(왼쪽). 행사 도중 진보단체 관계자들이 스티로폼으로 만든 이승만 동상을 세웠다가 부수는 퍼포먼스를 하려다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한국자유총연맹은 25일 오전 서울 중구 장충동 자유총연맹 광장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 동상 제막식을 가졌다.

행사에는 박희태 국회의장과 이홍구 전 국무총리, 캐서린 스티븐스 주한미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 전 대통령의 동상은 남산 분수대 자리에 위치해 있다가 지난 1960년 4·19혁명으로 철거됐다. 이후 51년 만에 남산 자락에 있는 자유총연맹 광장에 건립된 것이다. 동상은 높이 3m, 폭 1.5m의 청동으로 제작됐고, 기단부는 2m 20㎝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박창달 자유총연맹 회장은 제막식에서 “이 전 대통령은 헌정질서를 만들고 북한의 침략에서 나라를 구했다.”면서 “이 전 대통령을 부정하는 것은 대한민국을 부정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진보단체들은 “이 전 대통령의 동상 건립은 역사를 왜곡하고 독재자를 비호하는 일”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사월혁명회와 민족문제연구소 등 11개 단체회원 100여명은 자유총연맹 정문 앞에서 항의 기자회견을 가진 뒤 스티로폼으로 만든 이 전 대통령 동상을 부수는 퍼포먼스를 벌였다.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단순한 동상 건립이 아닌 뉴라이트세력의 역사 왜곡”이라면서 “최근 일부 보수학자들이 주장하는 식민지 근대화론 옹호와 같은 맥락에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서중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역사 재평가 작업은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이뤄져야 하는데 최근에 보수 쪽에서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다.”면서 “나라의 근간을 만드는 작업인 만큼 시간을 두고 논의를 해야한다.”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1-08-26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