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피정권 몰락] 오리무중 카다피 트리폴리에?

[카다피정권 몰락] 오리무중 카다피 트리폴리에?

입력 2011-08-25 00:00
업데이트 2011-08-25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른 지하요새에 숨었나…쿠바 등 피란길 올랐나

리비아 반군이 수도 트리폴리를 점령했지만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를 사살하거나 체포하는 데는 실패하면서 카다피 행방에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다급해진 과도국가위원회(NTC)는 24일(현지시간) 카다피의 목에 현상금까지 내걸었다. 무스타파 압델 잘릴 국가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벵가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카다피를 죽이거나 생포할 경우 170만 달러(약 18억원) 상당의 현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카다피 목에 18억원 현상금

카다피 측근과 반군 일부는 이날 잇따라 카다피가 여전히 트리폴리에 은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카다피 자신도 이날 현지 언론 알라이TV가 방송한 육성 메시지에서 “나는 신분을 숨기고 트리폴리를 돌아다니고 있다.”면서 “트리폴리가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카다피 측근 중 한 명인 압델 살람 잘루드도 영국 일간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카다피가 트리폴리 외곽의 소규모 호텔이나 민가, 이슬람 사원 등을 은신처로 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로이터도 익명을 요구한 반군 사령관의 말을 인용, 카다피가 여전히 교전이 벌어지고 있는 트리폴리에서 은신하고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반군에 이미 점령당한 밥알아지지야 요새를 빠져나가 고향이자 핵심 거점인 시르테로 이동했거나 또 다른 지하 요새에서 은거하고 있다는 시나리오도 유력하다.

●“나는 여전히 트리폴리에 있다”

일각에서는 카다피가 베네수엘라나 쿠바, 니카라과 등으로 도피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 대변인인 데이브 레이펀 대령은 카다피가 리비아를 떠나지 않았을 것이란 생각에 변화가 없느냐는 질문에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망명설을 일축했다.

트리폴리를 제외한 국내 은거지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곳은 카다피의 고향 시르테다. 외부에 존재가 드러나지 않은 제3의 장소에 있는 지하 요새에 숨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알자지라가 지난 3월 벵가지 교외에 있는 지하 요새를 소개한 보도에 따르면 카다피는 핵무기 공격 속에서도 여러 달을 버틸 수 있는 지하 요새를 리비아 곳곳에 비밀리에 건설했다. 자체 공기정화 시스템과 비상발전소, 물 공급 펌프는 물론 목욕탕과 수세식 화장실까지 갖추고 있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은 “요새 지하에는 약 2000마일(3200㎞)에 이르는 대규모 비밀 터널망이 구축돼 있다.”면서 “카다피 일가가 이곳에 숨어 있거나 터널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갔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1980년대 미국의 공습을 우려해 구축된 것으로 알려진 이 터널들은 트리폴리 시내는 물론 주요 지역들과 그물망처럼 연결돼 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2011-08-25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