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피아 파워에 고개숙인 고피아

모피아 파워에 고개숙인 고피아

입력 2011-05-25 00:00
업데이트 2011-05-25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윤대 KB금융·김승유 하나금융·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의 공통점은 고려대 출신의 금융지주 회장이면서 이명박 대통령과 인연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나름대로 막강한 파워를 갖고 있어 ‘고피아’(고려대+마피아)로 불린다. 하지만 이들은 옛 재무부 출신인 모피아 앞에서 제대로 힘을 쓰지 못하는 듯하다.

이미지 확대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모피아의 좌장인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은 24일 직원 650명을 불러 설명회를 갖고 우리금융을 인수하면 ‘듀얼뱅크’로 가겠다는 구상을 밝히면서 우리금융 인수 의사를 공식화했다. 강 회장의 언급은 우리금융 인수 후 구조조정 가능성을 묻는 산업은행 직원의 질문에 대해 나온 것으로,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을 합병하지 않고 ‘1지주 2은행’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것이다.

강 회장은 유사한 사례로 미즈호금융그룹을 들었다. 미즈호그룹은 2000년 다이이치간교은행(DKB)·후지은행·니혼고쿄은행 등 3개은행이 합병해 탄생한 일본의 2위금융그룹으로, 이들 세 은행은 미즈호라는 같은 이름을 사용하지만 법인체는 독립돼 있다. 강 회장은 “우리나라 금융계에도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 나와야 한다.”는 논리로 우리금융 인수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특히 메가뱅크라는 용어는 쓰지 않고 ‘챔피언 뱅크’라는 단어를 썼다.

이에 김석동 금융위원장도 강 회장에 대한 지원사격을 쏟아냈다. 김 위원장은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시나리오에 대해 “시장에 맡기고, 선입견을 갖지 말자.”고 말했다. 그는 산은지주가 국책은행이라는 지적에 대해 “(산은은) 국책은행을 벗어나려는 사람”이라면서 “링에 오르기도 전에 ‘너는 안 된다’, ‘옷을 벗어라’라고 할 필요가 없다. 민간과 민간이 되겠다는 이가 공정하게 유효경쟁을 벌이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민영화는 내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판단하는 것”이라며 “시장의 힘을 믿는다. 너무 예단하지 말고 시장에 맡겨보자.”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반박 논리도 제대로 펴지 못하면서 금융당국의 눈치만 보고 있는 것 같다. 김승유 하나금융 회장은 외환은행 매각 승인이 연기되면서 금융당국을 쳐다보며 애만 태우고 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 싸움의 결말은 두고봐야 한다는 관측이 많다. 청와대가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에 마뜩지 않은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데다 여론도 호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홍지민·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5-25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