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카이스트의 슬픈 봄] “학생 90%가 경쟁 이겨내…
10%위해 개혁 포기해야 하나”

[카이스트의 슬픈 봄] “학생 90%가 경쟁 이겨내…
10%위해 개혁 포기해야 하나”

입력 2011-04-09 00:00
업데이트 2011-04-09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희경 카이스트 기획처장

“차등등록금제는 폐지하겠지만 그렇게 되면 국민은 손해다. 카이스트는 학생들뿐 아니라 세금 내는 국민을 위해 학생들을 교육한다. 경쟁이 학생들에게는 불만일 수 있지만 경쟁력 있는 학생을 많이 배출하면 국민에게 이익 아닌가.”

이미지 확대
박희경 카이스트 기획처장
박희경 카이스트 기획처장


8일 박희경 카이스트 기획처장은 작심한 듯 말을 쏟아냈다. 박 처장은 “90% 이상의 학생들은 경쟁을 잘 이겨내 좋은 결과를 낸다. 그렇다면 그 90%를 위해 교육해야 하나, 아니면 나머지 10%를 위해 교육해야 하나.”라고 반문하며 “국민이 원하는 것과 학생들이 원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공부를 하게 하는 것, 이것이 바로 국민의 바람이고 카이스트가 서남표 총장을 모셔온 이유”라고 강조했다.

최근 서남표 총장이 “희생 없이는 아무것도 성취할 수 없다.”고 한 말이 떠올랐다. 박 처장은 이어 “카이스트는 학생들의 경쟁을 통해 세계 50위권 대학이 됐으며, 앞으로의 노력이 세계 10위권 대학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지난해 카이스트 학생들의 성적분포를 보면 A학점 이상을 받은 학생이 3713명으로 전체 7513명 중 49%, B학점 3135명(42%), C학점은 462명(6%), D학점 78명(1%), F학점 125명(2%)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자살이 잇따르고 있다.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 스터디를 의뢰했다. 하지만 짧은 시간에 원인을 밝히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MIT, 스탠퍼드 등에서 나온 자살 연구서를 보고 있는데, 역시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한다.

→차등등록금제가 문제라는 일부 지적이 있는데.

-사실 이건 등록금의 문제가 아니라 장학금의 문제다. 등록금을 원래 내야 하는데 학교가 장학금을 더 주고 있었던 거다.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장학금을 똑같이 주면 그게 더 문제 아니겠는가.

하지만 학생과 학부모들이 요구하니 차등등록금제는 폐지할 것이다. 물론 지금도 돈을 받을 때 좋은 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공부도 더 하게 할 수 있고, 국민의 세금도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 공부 안 하는 학생을 위해 세금을 계속 써야 하는 건 납세자의 입장에서 보면 불합리하다.

이미지 확대


→경쟁이 너무 심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학생들 생각과 달리 지금 부과하는 숙제는 외국 대학 수준이다. 그 정도도 안 하고 어떻게 일류 대학이 되나. 또 학교는 학생들이 경쟁력을 갖도록 훈련시켜야 한다. 초·중·고 때의 생각에만 갇혀 있으면 안 된다. 예전 1~2등이 꼴찌도 할 수 있다. 경쟁이 왜 나쁜가.

세계 1등을 하자면서 이 정도 경쟁도 못하면 어떻게 하나. 사실 교수도 힘들고, 학생도 힘들다. 지금 일부 학생들이 하자는 대로 하면 교수나 학생 모두 편하겠지만, 그러면 국민들은 어떻게 되겠는가. 경쟁을 줄일 수는 없다. 다만 경쟁을 유지하면서 다른 쪽으로 풀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겠나.

→다른 쪽으로 어떻게 푼다는 것인가.

-상담사 고용과 정기적인 지도교수 상담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C학점 이하 학생 10%를 위해 지금의 차등등록금제 같은 서남표식 개혁정책을 바꾸기는 어렵다. 국민의 입장에서도 봐야 한다. 경쟁력 있는 학생을 키워 내면 인류를 위한 기술을 개발한다. 이런 학생들을 키워 내는 것이 카이스트가 할 일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제시한 커리큘럼 말고 다른 경쟁력 방안도 있다고 말한다.

-뭐가 있겠나. 학기 중에 조금씩 외부 활동 하는 걸로 무슨 경쟁력을 얻을 수 있겠나. 우리는 학기를 2월에 시작한다. 여름방학을 3개월로 하기 위해서다. 인턴이나 외부 활동, 자신의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준다. 단 학기 중에는 공부만 하라는 것이다. 이게 효율적이다. 기숙사에만 틀어박혀 있지 말고 밖으로 나가 두루 경험하라고 방학 때는 기숙사 이용을 제한하고 있고, 졸업 안 하고 계속 학교에 남아 있는 학생들 때문에 재수강도 제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입학사정관제로 선발한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하는데.

-학생들 성적을 보면 일반계고 학생의 75%가 과학고와 별 차이가 없거나 더 잘한다. 25% 학생들… 그들은 어쩔 수 없다. 예외다. 그 학생들을 위해 교육수준을 낮추는 것은 답이 아니다. 미국 대학도 입학사정관제로 뽑은 학생들의 중도 탈락률이 20~30%나 된다. 입학사정관제가 원래 그렇다. 입학사정관제로 뽑은 학생들도 끝까지 가야 한다고 하는 압력에 굴복하면 한국 교육의 퇴보다. 지금은 카이스트식 교육을 강화해야 할 때다. 대학만 들어가면 쉽게 가려는 학생들의 졸업을 책임져 주는 게 대학이 할 일이 아니다.

→그래도 잇따른 자살은 문제다. 어떻게 해결할 건가.

-앞으로 한달이 문제다. 자살 사건이 있고 나서는 냄비처럼 부글부글한다. 하지만 한달이 지나면 문제를 보다 이성적으로 따질 수 있을 것이다. 카이스트의 사명에 대해, 또 왜 우리가 서남표를 모셔 왔나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지금 카이스트는 세계 50위 정도의 대학에 불과하다. 10위권에 들어가야 하는데 지금이 갈림길이다.

대전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1-04-09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