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기 예술감독·임준희 작곡가 ‘국악 칸타타’ 어부사시사를 말하다

황병기 예술감독·임준희 작곡가 ‘국악 칸타타’ 어부사시사를 말하다

입력 2011-04-08 00:00
업데이트 2011-04-08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계절 음악을 들으려면 꼭 비발디의 ‘사계’를 틀어야만 하나. 옛 한시에 장중한 곡을 붙인 작품은 말러의 ‘대지의 노래’뿐이던가.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오는 15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리는 국악 칸타타 ‘어부사시사’(漁夫四時詞)는 이 부분을 파고든 창작 작품이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0월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살짝 공개한 ‘어부사시사’ 한 장면. 호평에 자신감을 얻어 오는 15일 ‘국악 칸타타’ 형식을 본격 선보인다. 국립국악관현악단 제공
지난해 10월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살짝 공개한 ‘어부사시사’ 한 장면. 호평에 자신감을 얻어 오는 15일 ‘국악 칸타타’ 형식을 본격 선보인다.
국립국악관현악단 제공
포인트는 국악 칸타타 ‘어부사시사’가 아니라 ‘국악 칸타타’ 어부사시사라는 점이다. ‘어부사시사’는 누구나 어릴 적 교과서에서 한두편 정도는 읽어 봤을 법한 작품. 출세길보다 귀양길이 더 친숙했던 고산 윤선도(1587~1671)가 유배지 전남 보길도에서 본 어부들의 모습을 사계절 풍경 속에 담아낸 40수의 연작 시조다.

그래서 더 낯선 것은 국악 칸타타라는 형식이다. 칸타타는 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성행했던 성악곡이다. 이번 작품을 기획한 황병기(왼쪽·75)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과 곡을 쓴 임준희(오른쪽·52)씨로부터 작품에 대해 들어봤다.

황병기 국악연주자 60여명, 서양악기 연주자 20여명, 합창단 20여명 등 모두 다 합해 130명이 나선다. 국악으로 할 수 있는 사상 최대 규모다. 웅장한 느낌이 들 것이다. 격조를 갖추면서도 대중적인 작품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클래식하게 접근하더라도 낭만주의적으로, 너무 어렵지 않게 멜로디 라인을 따라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주문했다.

●“130명 출연… 국악 연주 사상 최대 규모”

이미지 확대
황병기 예술감독
황병기 예술감독
임준희
솔직히 고마운 주문이었다. 이번 작업은 국악, 관현악, 합창, 독창 등 모든 분야가 다 섞여 있다. 이들 간 시너지 효과를 내는 문제가 중요한데, 이 부분에 대해 걱정하지 말고 마음껏 해 보라는 것이 선생님의 방침이었다.

제작도 좀 여유롭게 하도록 해 줬다. 공공기관들은 예산 회계가 1년 단위로 끊기기 때문에 통상 작품을 의뢰해도 6개월 정도의 시간밖에 안 준다. 그런데 이건 2년을 줬다.

맞다. 2009년 4월에 전화주셨으니 2년 정도 여유를 주신 셈이다. 원래 황 선생님을 참 좋아했는데, 이번 작업 덕분에 마침내, 처음으로 뵙게 됐다. 개인적으로 1983년 작곡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가져갔던 음반이 황 선생님의 ‘침향무’, ‘숲’ 같은 작품이었다. 서양음악을 전공했지만, 한국적인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어릴 적부터 생각했다.

‘어부사시사’는 참 보석 같은 시조다. 이리저리 봐도 가사는 정철, 시조는 단연 윤선도다. 첫 대목이 ‘압개예 안개 것고 뒫뫼희 해 비췬다’(앞 강에 안개 걷히고 뒷산에 해 비친다)로 시작하는데, 난 이 구절부터 가슴이 뛴다. 힘찬 기운이 느껴지지 않는가. 음악적으로도 그렇다. 시조 한수 한수마다 후렴구처럼 들어가 있는 ‘지국총 지국총 어사와’(‘찌그덕 찌그덕 어이야’쯤으로 번역. 노젓는 소리를 나타낸 의성어)를 실제 노래에서는 다양하게 변주했다. 그 부분이 특히 마음에 든다.

이미지 확대
임준희 작곡가
임준희 작곡가
안 그래도 전주 부분은 안개를 나타내기 위해 낮게 깔았다. 여하간 좋게 봐주시니 고맙다. 서양 작가인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수백 가지 버전이 나오지 않나. 우리 옛것도 그럴 필요가 있다. ‘어부사시사’도 이번엔 칸타타로 무대에 올려지지만, 다음에는 관현악으로, 또 다음에는 연가곡으로, 그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었으면 좋겠다. 이번 칸타타를 바탕으로 해서 관현악 편곡 작업도 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처음 말하지만, 사실 작곡가를 물색할 때 주변 사람들에게 많이 물어봤다. 임 작곡가는 오래전부터 국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더라. 그래서인지 국악적 테크닉에 익숙하다. 오페라 작곡도 해 봐서인지 웅장한 합창 같은데도 능했다. 그게 당첨된 이유다. 허허.

●“가을 대목에는 남도 뱃소리 넣어”

아니다. 황 선생님 덕을 많이 봤다. 가사가 옛 한문투 문장이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난감했다. 그때 황 선생님이 참고 서적들을 주셨다. 또 해남 윤씨 문중에서도 많은 도움을 주셨다. 모두 40수 가운데 20여수를 노랫말로 만들었다. 물론 맥락에 따라 뭉치기도 하고 나누기도 했다. 윤선도의 선비적인 멋을 살려야 할 부분은 독창이나 정악적인 느낌을 강조했고, 어부들의 일상이나 자연의 변화를 다룬 부분에서는 합창과 민속악적 요소를 넣었다. 특히 가을 대목에는 남도 뱃소리까지 넣어서 아주 흥겹게 만들었다.

안 그래도 관객들에게 앙코르 요청을 받으면 가을 부분이 딱 적당하다 싶었다. 예전에 88서울올림픽 때도 이런저런 우리 노래 가운데 뱃노래가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았다. 아직 공개할 단계는 아니지만 한 작품 더 준비하고 있다. 이것까지 올해 무대에 올리고 (예술감독) 임기를 마칠 생각이다.

2만~5만원. (02)2280-4115~6.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4-08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