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너무 담담한 日언론 vs 자극적인 한국 언론

너무 담담한 日언론 vs 자극적인 한국 언론

입력 2011-03-17 00:00
업데이트 2011-03-1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진 보도로 본 양국 언론

일본에서 대지진 취재를 하다 보니 안부를 묻는 지인들의 전화와 문자가 쇄도했다. 처음에는 “고생이 많다.”는 응원이 대부분이었는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능이 유출됐는데 왜 거기에 있느냐. 어서 돌아와라.”며 귀국을 종용하는 내용들로 바뀌었다. 걱정이 앞서겠지만 한국에서 접하는 소식과 일본에서 기자가 접하는 소식이 상당한 온도차가 있는 것 같았다.

●양국 소식 상당한 온도차

지진 발생 이후 국내 언론이 전하는 소식들을 보면 금방이라도 일본이 가라앉거나 전역이 방사능에 오염돼 큰일이라도 날 것처럼 난리다. ‘방사능 후유증 50년 갈 수도’, ‘체르노빌 악몽 재현되나’ 등 자극적인 제목이 1면부터 장식하고 있다. 틀린 내용은 아니지만 어디까지나 추측, 가능성을 다룬 보도다. 현장으로 특파된 기자들도 주로 피해지역의 참상과 안타까운 사연을 취재하는 데 집중했다. 방송은 통곡, 궤멸, 아비규환, 아수라장, 유령도시, 암흑천지 같은 말들로 넘쳐났다.

이와 비교해 일본 현지 언론은 상당히 침착하다. 모든 채널이 24시간 재해방송을 내보내고 있지만 “매우 위험, 위급하다.”는 보도는 없다. 안타까운 사연을 전하면서 눈물샘을 자극하는 내용은 보지 못했다. 대신 수도, 전기, 가스, 교통, 병원 정보와 대피에 필요한 정보는 한 시간에도 몇 차례씩 반복 보도했다. 앵커와 기자들은 사망·실종 상황을 전하면서도 여느 때처럼 목소리가 차분했다.

물론 일본에서도 정부의 무능함을 지적하기도 했다. 아사히 신문은 16일 ‘(정부)위기관리 뒷짐’(3면)이라는 제목으로 지진피해 직후 간 나오토 총리와 행정당국, 도쿄전력의 움직임을 추적한 기사를 실었다. 일간 겐다이는 정부 대책만 믿고 기다린 후쿠시마현 주민들이 휘발유를 얻지 못해 대피도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재난대응 체계 점검 계기로”

일본 언론이 자극적이기보다는 냉정함을 중시하는 이유는 선정적인 보도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추측 보도는 독자에게 불필요한 자극과 불안감을 준다. 일본 국민 사이에서 사재기나 유언비어가 횡행하지 않는 것도 이런 방어선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기자도 15일 오전 ‘지금 원전 제2기 원자로가 노출돼 큰 위기. 빨리 서쪽으로 도쿄로 대피하세요.’라는 문자를 받고 한때 충격에 휩싸였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서도 마음을 추스르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

NHK 자문역을 맡았던 이연 선문대 언론광고학부 교수는 “이번 지진 재해의 경우 한국이 직접적인 재해지역은 아니지만 중요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사고 이후 우왕좌왕하지 않으려면 이번 기회에 재난 대응 체계에 대한 세심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3-1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