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로 풀어본 日 대지진] Q:지진대비 만전 日 피해 왜 컸나

[Q&A로 풀어본 日 대지진] Q:지진대비 만전 日 피해 왜 컸나

입력 2011-03-14 00:00
업데이트 2011-03-14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규모 7.5로 훈련… 9.0에 무방비

3·11 도호쿠 대지진은 일본 기상관측 이래 최대 규모다. 지진 대비책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일본 정부도 상상을 못했던 지진인 만큼 피해도 컸다. 이번 지진을 둘러싼 궁금증을 Q&A로 풀어본다.

Q:초대형 쓰나미가 덮친 수몰 지역에 화재가 많이 일어난 이유는.

A:상식과는 달리 주택 등 건물을 파괴하는 쓰나미에 동반해 화재가 발생하기 쉽다. 쓰나미가 덮쳐 붕괴된 주택에서 가스가 새어 나온다. 거기에 누전이 겹치면 불이 쉽게 일어나는 환경이 된다. 한곳에서 이런 화재가 생기면 주택가에선 연달아 불이 옮겨 붙어 삽시간에 한 지역이 불바다가 된다. 게다가 이번 지진 피해지역에는 목조건물이 많았다. 불이 한번 발생하면 건물 자체가 불쏘시개가 되어 버린다. 아무리 쓰나미에 의해 건물이 젖어 있더라도 대형 화재는 피할 수 없다.

Q:석유 탱크 화재 왜 발생했나.

A:쓰나미 피해를 보지 않더라도 지진으로 흔들려서 화재를 일으킨 경우다. 이번 지진은 느릿하게 장주기(長週期) 의 흔들림이 강한 게 특징이다. 석유가 가득한 대형 탱크는 물을 넣은 양동이를 옮길 때처럼 격렬하게 흔들린다. 이때 석유에 떠 있는 금속성 물질이 탱크 내부 벽면을 긁으면서 그 마찰열로 불이 붙게 된다.

Q:지진 대비가 세계 최고라는 일본인데 피해가 많았던 이유는?

A:어느 누구도 상상을 못한 지진에 초강력 쓰나미까지 덮쳤다. 일본 정부는 도호쿠 지방의 경우 미야기 현 앞바다에서 7.5 규모로 일어나는 지진을 상정해 대비해 왔다. 그런데 3·11 지진은 9.0 규모였다. 시뮬레이션보다 90배를 넘는 크기였다. 예상을 초월한 지진에 속수무책이었던 까닭이 거기에 있다. 문제는 지진 규모도 규모였지만 쓰나미였다. 지금까지 최대라고 부른 ‘메이지(明治) 쓰나미’를 넘어서는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쓰나미가 발생했다. 태평양 연안, 특히 도호쿠 3개현을 덮친 쓰나미는 11일 오후 2시 46분의 지진 발생 시점에서 불과 30분 만에 해안을 덮친 곳도 있었을 만큼 지진 발생에서 쓰나미 도달 시간이 빨랐다. 쓰나미가 컸던 곳에는 높이 10m 이상의 쓰나미가 덮친 것 아니냐는 추측을 하고 있는데 이 같은 높이도 일본 역사상 최대라는 것이다.

Q:마을 전체가 없어진 곳이 눈에 띈다.



A:쓰나미에 마을 전체가 휩쓸려가고 철근 콘크리트로 지은 건물만 덩그러니 남아 있는 화면을 TV에서 봤을 것이다. 대표적인 곳이 미야기 현의 미나미산리쿠초, 이와테 현의 미야코 등지이다. 일본에서도 상당한 시골인 만큼 전통 목조가옥도 많은 지역이다. 1995년의 한신 대지진 때 사망자의 80%에 해당하는 5000명 정도가 붕괴된 목조가옥에 깔려 죽었다고 한다. 그만큼 목조가옥이 위험하다는 뜻이다. 일본의 목조가옥은 돌을 기초로 한 곳에 기둥을 얹어서 짓는데 한국의 목조주택보다 경량이다. 지진에도 견디기 힘든 이런 목조가옥이 초대형 쓰나미에 종이집처럼 휩쓸려 가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일본은 꾸준히 큰 지진이 발생하면 내진강화 등을 골자로 한 건축기준법을 개정해 왔다.

황성기기자 marry04@seoul.co.kr
2011-03-14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