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낭인(浪人) /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낭인(浪人) /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1-03-04 00:00
업데이트 2011-03-0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낭인(浪人)은 일정한 직업이 없이 이리저리 헤매는 떠돌이다. 경제·정치적 위기를 겪은 뒤 낭인이 많이 생겨난다. 중세 이전 일본에서 낭인은 호적에 등록된 지역을 떠나 타지역을 유랑하는 사람을 지칭했다. 당시에는 민초들이 낭인이 된 뒤에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다. 에도바쿠후 중기 이후는 주종관계인 영주를 떠난 무사·평민을 낭인이라고 했다. 여행의 자유가 제한됐다. 19세기 악명을 떨친 신센구미는 평민 출신의 낭인들이다.

요즘 일본에서 낭인은 재수생을 지칭한다. 재수생이 보호막을 떠난 옛 낭인 신세와 유사하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한 낭인이 열도를 뒤흔들었다. 간사이 명문 교토대를 지망한 야마가타현 출신 한 낭인(19)이 지난달 교토대 본고사에서 모친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영어·수학 시험문제를 인터넷에 유출, 올라온 답으로 작성했다. 도시샤, 릿쿄, 와세다대 문제도 인터넷에 유출시켰다. 3일 체포돼 입시부정 수법 등에 대해 조사받고 있다.

가면(假面)낭인. 대학생 가면을 쓴 채 실질적으로 낭인생활을 하는 재수생을 지칭한다. 일본도 명문대 입시 경쟁이 심해 마음에 들지 않는 대학에 합격하면 재수하는 경우가 많다. 낭인 양산을 막기 위한 장치도 있다. 합격한 대학에 입학하지 않고 순수한 낭인이 되면 다음해는 상당수 대학에 입학할 수 없는 등 불이익이 많다. 그래서 대학생 신분을 유지하며 낭인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생과 재수생의 중간신분, 반수생이다. 명문고교 입시경쟁도 심해 고등학교에도 가면낭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시낭인이 문제다. 서울 신림동 고시촌에서 시름하는 낭인들이 많다. 사시 1차시험이 치러진 지난달 19일엔 29세 사시낭인이 자살하기도 했다. 고시낭인들은 사법시험이나 행정·외무·입법고시 등에 수년씩 매달린다. 고시낭인을 줄이려 정부가 노력하지만 효과는 별로다. 과거나 지금이나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는 낭인이란 명칭이 다소 부정적인 의미로 통한다.

하지만 ‘낭인정신’이 긍정적으로 조명되기도 한다. 낭인은 스스로 활로를 개척하지 않으면 결코 설 자리가 없다. 그래서 수많은 낭인들이 조직과 사회를 변혁시키는 동력을 발휘한다. 조직을 떠나 실직하면 마음가짐이나 각오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궁지에 몰리면 잠재된 에너지가 발산되는 이치다. 일본 근대화의 촉발점인 메이지유신도 사카모토 료마라는 낭인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낭인정신으로 무장한 낭인·재수생들이여! 기죽지 말라.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1-03-04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