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사태 한 달] 유족들 아물지 않은 상처

[연평도사태 한 달] 유족들 아물지 않은 상처

입력 2010-12-22 00:00
업데이트 2010-12-22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상생활 적응 못하고 눈물의 나날 “우리 같은 사람들 또 생기면 안돼”

연평도 피격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희생자 가족들의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북한의 포격으로 남편을, 아들을, 아버지를 잃은 유족들은 아직도 일상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가족 간 보상금 문제로 또 다른 아픔을 겪는 이들도 있다. 유족들은 “더 이상 추가 희생이 없기를 바란다.”고 입을 모았다.

●보상금 문제로 두 번 상처

민간인 사망자 김치백씨의 부인 강성애(57)씨. 그는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 내내 울음을 그치지 못했다. 현재 어지럼증이 심해 제대로 걸음조차 걷기 힘든 상태다. 스트레스 탓인지 기본적인 단어도 생각이 안 나 대화가 안될 때도 있다고 했다. 그는 “아저씨(남편)가 너무 보고 싶다. 집이 텅 빈 것 같다.”면서 “직장까지 쉬며 간호해 주는 딸 때문에 간신히 버티고 있는 것”이라며 흐느꼈다. 또 연평도 해상사격훈련과 관련한 북한의 ‘보복 공격’ 가능성이 제기되자 “제발 우리 같은 사람 만들지 말아야 할 텐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딸 김영정(29)씨도 “연평도의 긴장 상태가 높아질 때마다 아버지 같은 일이 생길까봐 두렵다.”며 울먹였다.

고 배복철씨의 유가족들은 고인이 사망한 지난달 23일부터 매일 제사상을 차린다. 희생자들에 대한 무관심에 섭섭한 감정도 드러냈다. 매형 전상철(68)씨는 “연평도 피해 주민을 위해 성금도 걷고 신경 쓰는 것에 비해 사망자들에 대해서는 소홀한 듯하다.”고 안타까워했다. 특히 ‘보상금 문제’로 두번 상처받은 심정도 내비쳤다. 그는 “피가 섞이지 않은 데다 생전에 거의 연락도 없었던 두 딸이 호적에 올랐다는 이유로 보상금 수령 대상이 된다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오죽하면 아버지 죽은 걸 TV에서 보고 찾아왔다고 하더라.”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아버지 제사 지내러 단 한번도 안 오더라. 나도 어이가 없고, 가족들도 모두 속상해하고 있다.”면서 “두 딸의 삼촌 3명과 고모 1명(배씨의 부인)이 보상금과 관련해 소송을 걸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늘이 아들 만기제대일인데…”

연평도 현장을 찾았던 고 서정우 하사 아버지 서래일(51)씨는 밤잠을 이루지 못한다. 서씨는 “22일이 아들의 만기제대일”이라며 “당장이라도 현관문을 열고 뛰어들어올 것 같다.”며 울먹였다. 그는 또 북한에 대한 강한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다. 그는 “다시 공격해 오면 몇만배로 갚아줄 것이라는 각오를 보여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 백민경·정현용·김진아기자

white@seoul.co.kr
2010-12-2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