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국격(國格)이 높아졌습니까/이종락 도쿄특파원

[특파원 칼럼] 국격(國格)이 높아졌습니까/이종락 도쿄특파원

입력 2010-11-20 00:00
업데이트 2010-11-20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군 이래 최대 행사로 불린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가 지난 12일 끝났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G20 서울 정상회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다. 192개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한 유엔총회에서 각국 대표들은 지난 17일 “G20 서울회의가 준비 과정, 회의 결과 모든 면에서 차질없이 성공적으로 치러졌다.”고 평가했다.

이미지 확대
이종락 특파원
이종락 특파원
해외 언론도 찬사 일색이다. 중국의 세계신문보는 G20 서울회의와 요코하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결과를 비교 평가하면서 ‘한국, 일본 압도’라는 제목을 달았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이명박 대통령은 활발하게 움직였지만 간 나오토 총리는 그렇지 못했다.”며 이 대통령의 외교력을 높이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해 9월 25일 미국 피츠버그 G20 정상회의에서 서울회의를 유치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귀국길 비행기 안에서 “G20 서울회의 유치는 국운을 상승시키고, 국격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행단과 만세삼창을 불렀다. 기자는 당시 이 대통령을 동행·취재하는 기자단 일원으로서 엄청난 흥분에 젖었던 기내의 분위기를 잊지 못한다.

하지만 잔치는 끝났다. 이제는 차분히 우리를 되돌아 봐야 한다. 서울 정상회의에서 세계경제의 불균형을 시정하는 방안에 합의했다면, 향후 수년간 세계 경제를 논하면서 ‘서울정신’이 언급됐을 텐데 절호의 기회를 놓친 셈이다. 서울회의가 완벽히 성공했다는 평가를 듣지 못하는 이유다.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부분도 있다. 서울 정상회의를 계기로 과연 국격이 높아졌느냐는 점이다. 당초 한국무역협회는 서울 정상회의가 성공리에 끝났을 때 경제효과를 약 31조 2700억원으로 예상했다. 25개국 정상들과 수행단, 4000여명의 외신기자들이 서울에서 쓴 돈 532억원, 한국제품의 인지도 향상에 의한 수출확대 20조 1400억원 등을 합친 수치다. 이런 막대한 효과를 거뒀을 것이라는 통계에는 대체로 수긍이 간다. 하지만 경제적 효과를 거뒀다고 해서 국격이 높아졌다는 통계는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어쩌면 국격의 상승 여부는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우리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르는 무형의 가치여서 처음부터 측정이 불가능했는지도 모른다.

정부는 1988년 서울올림픽과 2002년 한·일 월드컵에 이어 서울 정상회의에서도 국격을 높이기 위해 ‘4대 실천운동’을 전개했다. 서울시는 7개의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10대 시민 실천 과제’를 정해 계몽활동을 벌였다.

이런 모습들이 외국 언론에는 어떻게 비쳐졌을까. 외국 손님들을 정성스럽게 맞이하려는 한국 정부와 시민들의 노력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정부가 특정 행사를 활용해 국민을 계몽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고 보도했다. 이런 이벤트를 통해 단기간에 국격이 올라간다고 생각하는 자체가 이상하게 여겨진다는 뼈아픈 지적도 있었다.

실제로 APEC 정상회의가 열렸던 요코하마에서는 계몽운동을 벌이지 않았다. APEC을 통해 침체된 일본 경제가 부흥하는 계기가 된다든지, 침체된 일본이 다시 일어서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외치는 사람들은 아무도 없었다. 물론 선진국이니까 그럴 수도 있겠지만 회의는 회의 자체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역력했다.

정부의 염려와는 달리 정상회의 첫날인 11일 자동차 2부제 참여율이 69.4%를 기록하고, 과격 시위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대통령도 “국민들의 수준이 정부 정책 수준보다 앞서 있고 국제화됐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알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이제는 특정 행사를 계기로 정부가 국민을 가르치려 드는 ‘후진국형 계몽운동’은 그만뒀으면 싶다. “진실로 국제사회에서 책임과 역할을 어떻게 주체적으로 해나가느냐가 국가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라는 다케코시 마사히코 요미우리신문 서울지국장의 지적이 뼈아프게 다가온다.

jrlee@seoul.co.kr
2010-11-20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