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놓는 순간 빈둥대면 중독자”

“스마트폰 놓는 순간 빈둥대면 중독자”

입력 2010-10-22 00:00
업데이트 2010-10-22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끄러운 겉모습, 민감하게 반응하는 버튼, 반짝이는 빛, 끊임없이 사용을 유도하는 게임까지…. 스마트폰은 이제 새로운 마약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경제 전문지 포천이 21일(현지시간) ‘비트에 중독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최근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스마트폰에 대한 사람들의 열광이 마약이나 도박과 같은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포천은 “당신이 스마트폰을 갖고 있다면 새로운 문자메시지, 이메일, 페이스북 메시지의 도착에 기뻐하고 놓친 전화에 절망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라.”면서 “항상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고 있고 스마트폰을 놓는 순간 빈둥대고 있다면 당신은 이미 중독자”라고 전했다.

리서치인모바일(RIM)의 블랙베리에서 시작, 2007년 애플의 아이폰 출시로 본격화한 스마트폰의 중독성은 아직까지 정신의학적 분석이 완료되지 않았다. 낸시 페트리 코네티컷 의대 교수는 “사람들의 스마트폰 사랑과 중독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면서 “그러나 아직까지 중독 정도나 그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보고서가 제시된 적은 없다.”고 밝혔다.

포천은 스마트폰 자체에 대한 중독보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중독이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스마트폰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기존 인터넷 중독 증상이 심화되고 있고, 게임 중독 역시 마찬가지다.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하는 것이 슬롯머신과 같은 작용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주드슨 브루어 예일대 신경과학센터 교수는 “슬롯머신을 즐기는 사람은 당긴 뒤의 결과로 인해 극도의 쾌감이나 실망을 맛보게 되며, 이를 반복적으로 즐기면 중독이 된다.”면서 “손가락으로 스마트폰의 새로운 문자메시지를 터치하는 것은 슬롯머신을 당길 때와 같은 효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0-22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