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9 부동산 대책 한 달… 지금 시장은

8·29 부동산 대책 한 달… 지금 시장은

입력 2010-09-25 00:00
업데이트 2010-09-2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대도 잠깐… 집값 더 떨어져

정부가 부동산거래 활성화를 위해 8·29 대책을 내놓은 지 한 달이 다 돼 가지만 좀처럼 거래가 살아나지 않고 있다.

이미지 확대
24일 서울 잠실동의 한 아파트 상가 공인중개사 사무실로 한 손님이 들어가고 있다. 게시판에 급매를 원하는 매물이 즐비하다. 김태웅기자 tuu@seoul.co.kr
24일 서울 잠실동의 한 아파트 상가 공인중개사 사무실로 한 손님이 들어가고 있다. 게시판에 급매를 원하는 매물이 즐비하다.
김태웅기자 tuu@seoul.co.kr
정부 대책이 시장의 기대만 키웠을 뿐 실효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둘러본 서울·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연휴의 끝자락이어서인지 무척 한산한 모습이었다. 서울 대치동 은마아파트 상가의 공인중개소 10여곳 중에는 문을 열지 않은 곳도 있었다. S공인 관계자는 “추석 이후에는 거래가 살아나고 매매가격도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는데 실제로는 추석 전보다 더 한가하다.”면서 “매도자들도 물건을 모두 거둬들여 급매물만 조금 남은 상태”라고 말했다.

은마아파트에서 거래가 가장 많은 31평의 경우 8·29 대책 발표 후 8억 2000만원 선에서 매매가 몇 건 이뤄지자 9억원으로 가격이 훌쩍 뛰었다. 그러나 매도자의 기대만큼 매수세는 쉽게 따라붙지 않아 추석 전부터 거래는 거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D공인중개소 관계자는 “매도자들이 가격을 상향 조정한 뒤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그러나 매수자들은 아직도 가격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 추석 이후에 거래가 살아날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정부 취지대로라면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완화되면 거래가 막힌 곳부터 연쇄적으로 거래가 일어나 시장이 살아나야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도자들이 가격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을 올렸고, 수요자는 집값에 대한 부담으로 매매가 끊어진 채 시장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집값 상승은 막더라도 거래 활성화는 필요하다는 말이 나온다.

박원갑 스피드뱅크 소장은 “DTI 완화 등이 거래의 동맥경화 현상을 뚫어주기를 기대했지만,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시장을 계속 짓누르고 있어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라면서 “대책이 만료되는 내년 3월에도 시장이 살아나지 않으면 또 다른 대책이 나오지 않겠느냐는 괜한 기대만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에서는 가격이 대책 발표 이전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부동산정보회사 닥터아파트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실제 매매가격은 8월29일 직전과 비교해 오히려 떨어졌다. 서울시의 경우 8·29 대책 직전 연초 대비(2010년 1월1일 기준) 변동률이 -2.13%였으나 9월24일 현재 -2.27%로 가격이 떨어졌다. 수도권은 -2.59%에서 -2.74%로 하락폭이 더 커졌으며, 일산은 -5.87%에서 -8.62%로 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집이 팔리지 않아 비싼 이자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들은 여전히 고생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정부의 추가 대책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들린다. 하지만 부동산 대책의 남발은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결국에는 효과마저 기대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를 것이라는 충고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9-25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