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낚는 기자들 생생 열혈취재기

특종낚는 기자들 생생 열혈취재기

입력 2010-07-31 00:00
업데이트 2010-07-31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기자 어떻게 됐어?】 한국기자협회 엮음 이지앤 펴냄

언론의 가치, 기자의 비판 정신이 평가절하되는 시대다. 이념과 자사의 이익에 휘둘리는 언론을 향한 대중의 시선은 냉혹하다.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전문가 블로거들은 언론의 영역을 위협하고 있다. 언론과 기자의 설 자리는 더이상 없는 것일까.

한국기자협회가 엮은 ‘김기자 어떻게 됐어?’(이지앤 펴냄)는 이런 의문에 대한 하나의 답이 될 수 있을 듯 싶다. 우선 책 표지에 제목이 뒤집혀있는 게 눈에 띈다. 겉으로 보이는 현상을 뒤집어 본질을 파헤치는 기자의 본분과 숙명에 대한 암시이다. 숨겨진 사실, 은폐된 진실을 향해 전력투구해 특종을 건져올린 열혈기자들의 생생한 취재기는 언론의 존재 가치를 새삼 일깨운다.

‘국내에 과연 외국인 조폭이 있을까’. 누구나 가질 법한 의문이다. 그러나 누구도 선뜻 취재하기 어려운 분야다. 서울신문 김승훈 기자는 이 의문을 풀기 위해 40여일을 뛰어다녔다. 인터넷에서 관련 자료를 검색하는 것은 기본. 국가정보원, 검찰, 경찰 등 수사당국 수뇌부를 접촉했지만 실마리는 잡히지 않았다. 관계자들은 “외국인 조폭의 실체를 파헤친 기사는 지금까지 단 하나도 없다. 우리도 기사가 나오면 참고해야겠다.”고 할 정도였다.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로 들어가야 하는 법. 김기자는 수소문끝에 외국인 폭력 조직원과 접촉해 그들의 육성으로 조직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성공했다. 2009년 10월 서울신문 탐사보도로 게재된 이 기사는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밖에 짤막한 제보 하나에서 시작된 MBC의 ‘촛불집회 몰아주기 배당과 이메일 압력 사건’, 전 세계적 금융위기의 본질을 파헤친 경향신문의 기획기사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등 18개의 기사에 얽힌 흥미진진한 얘기가 실려있다. 1만원.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7-31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