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테이킹 우드스탁’ 마지막 순수, 그 순간으로의 초대

[이용철의 영화 만화경] ‘테이킹 우드스탁’ 마지막 순수, 그 순간으로의 초대

입력 2010-07-27 00:00
업데이트 2010-07-27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엘리엇 타이버(앞줄 가운데·드미트리 마틴)는 화가의 길을 꿈꾸는 청년이었다. 하지만 시골마을에서 싸구려 모텔을 경영하는 부모의 초라한 현실은 매번 그의 발목을 잡는다. 1969년 여름, 마을의 상인연합 회장인 그는 암울한 지역 경제를 고심하다 음악 페스티벌 아이디어를 낸다. 처음엔 실내악 콘서트 정도를 생각했는데, 우드스탁 록 페스티벌이 개최지를 찾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그는 페스티벌 측에 전화를 걸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뉴욕 주 북쪽에 위치한 작은 마을은 세상의 중심이 된다.

이미지 확대
서구사회에서 1960년대 후반은 청년문화가 폭발한 시기이며, 성격을 달리하는 두 역사적 사건이 기성사회를 흔들어 놓았다. 청년 세대의 저항운동이 정점을 기록한 정치적 사건이 ‘68혁명’이었다면, ‘록 페스티벌’은 평화, 반전·인권·사랑의 메시지가 음악이라는 거대한 바다와 만난 경우였다. 두 사건이 20세기 역사에 깊은 여파를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의 여름은 길지 않았다. 구호를 외치던 아이들은 실의의 계절로 떠났고, 사랑을 나누던 히피는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났다.

68혁명에 대한 책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것과 달리, 우드스탁 페스티벌을 다룬 문화상품은 별로 없다. 68혁명을 이끌었던 사람들이 연구와 사회활동에 게으르지 않은 것과 록페스티벌 스타들이 줄줄이 죽음의 대열로 몰려간 것을 비교해 보면 그 결과는 어쩌면 당연한 건지도 모른다. 그런 점에서 ‘테이킹 우드스탁’은 반가운 작품이다. 얼떨결에 우드스탁 페스티벌의 한가운데 섰던 타이버가 쓴 자전적 소설이 영화의 바탕을 제공했고, 다양한 스펙트럼의 영화세계를 자랑하는 이안이 메가폰을 잡았다.

이안이 우드스탁 페스티벌의 뒷이야기를 담은 ‘테이킹 우드스탁’을 연출한 건 필연처럼 보인다. 그가 1997년에 내놓은 ‘아이스스톰’은 혁명과 유토피아의 꿈이 사라진 후 차갑게 얼어붙은 1970년대 초반의 미국사회를 반영한 작품이다. 그러므로 ‘테이킹 우드스탁’은 ‘아이스스톰’의 세대가 그리워하는 마지막 순수의 순간을 기록했다고 할 만하다. 록 다큐멘터리 ‘우드스탁: 사랑의 음악의 3일’(1970년)에서 많은 부분을 차용하는 등 시간의 재현에 많은 공을 들인 ‘테이킹 우드스탁’은 당시의 기억과 유리된 세대에게 보내는 초대장으로도 모자람이 없다.

이안은 자칫 혼란스러움만 넘칠 법한 영화의 중심에 타이버를 배치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자기 영화의 줄기인 ‘성장의 주제’를 잃지 않았으며, 영화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었다. 유대인이자 동성애자인 타이버는 세상에 나서기보다 은둔이란 카드를 집어든 청년이었다.

아름다운 무정부사회가 펼쳐진 3일의 축제가 지날 동안, 타이버는 권력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자기 목소리를 내는 친구들과 어울리고, 그 속에서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리고 축제의 손님들이 떠나갈 때, 줄곧 멈춰 섰던 그 또한 세상을 향해 문을 열어젖힌다. 이안은 혁명적 걸작 대신 사랑스러운 성장기를 선택했다. 그 선택이 밉지 않다.

영화평론가
2010-07-2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