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통령 국정연설] ‘젊은 정당론’에 힘 받은 쇄신파… 친박은 경계모드

[이대통령 국정연설] ‘젊은 정당론’에 힘 받은 쇄신파… 친박은 경계모드

입력 2010-06-15 00:00
업데이트 2010-06-15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명박 대통령이 14일 ‘젊고 활력 있는 정당론’을 언급함에 따라 그동안 인적쇄신을 요구해 오던 한나라당의 쇄신파와 중도파 의원들이 힘을 받는 분위기다. 당 지도부가 교체되는 다음달 전당대회를 계기로 중심 세력으로 나설 수 있다는 자신감마저 묻어난다. 반면 친박계에서는 ‘박근혜 전 대표 출마론’으로 세대교체론 차단을 시도하고 나섰다.

이미지 확대
한나라당 김무성(왼쪽) 원내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고흥길 정책위의장.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한나라당 김무성(왼쪽) 원내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고흥길 정책위의장.
이호정기자 hojeong@seoul.co.kr
●중도·소장파 “기회 만들어졌다”

당장 중도파와 친이계가 주요 후보군 떠오르고 있다. 남경필 의원은 “국민과 소통하고, 이를 대통령에게 용기 있게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출사표를 던졌고, 친박 성향의 권영세 의원도 “대통령의 언급으로 젊은 사람들이 출마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며 출마 의사를 내비쳤다. 나경원·정두언·진수희 의원도 출마를 검토중이다.

원외인사로 주목받던 임태희 노동부 장관과 김태호 경남지사도 운신의 폭이 커졌다. 이들은 전당대회가 7월14일 이전으로 결정되면서 출마를 부담스러워했지만 대통령의 언급으로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는 판단이다. 임 장관은 당초 개각 가능성이 7·28 재·보선 이후로 잡혀진 마당에 노동부를 박차고 나와 선거를 위해 뛰는 게 쉽지 않았고, 이달 말까지 지사직을 맡는 김 지사도 상황이 다르지 않았던 터다.

‘초선쇄신모임’에서도 후보를 낼 방침이다. 정태근, 권영진, 김성식, 홍정욱 의원 등 쇄신파 초선 의원들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후보로 거론된다. 정태근 의원은 “전당대회에서 한 사람이 두 표를 행사할 수 있는 만큼 한 장은 계파가 결정하더라도 나머지 한 장은 개인이 결정할 수 있어 세대교체의 가능성은 높다.”고 분석했다.

쇄신에 동참하지 않는 초·재선들도 나서고 있다. 심재철 의원은 “친이 의원들의 모임인 ‘함께 내일로’의 지지를 받아 출마하겠다.”고 말했다. 전여옥·이군현 의원도 주변에 이미 출마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 쪽에서는 서병수·이성헌 의원 등이 거론된다.

‘젊은 정당론’과 상관 없이 안상수·홍준표 전 대표는 ‘안정론’을 내세워 대표최고위원 출마 의사를 굳힌 상태다. 이날 남아공에서 귀국한 정몽준 전 대표도 당분간 당 의원들과의 접촉면을 넓히며 당 대표 도전 의지를 다질 계획이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화합론’으로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친박 “박 前대표에 출마 요구”

반면 친박계는 ‘박근혜 출마론’을 들고 나왔다. 친박계 좌장인 홍사덕 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게 화합이란 점을 알았다면, 박 전 대표한테도 국민이 원하니까 (전대에) 나서야 한다고 말하는게 옳다.”면서 “(친박계)의원들과 의견을 모은 만큼 박 전 대표가 수락할 때까지 박 전 대표의 전대 출마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세대교체론이 박 전 대표의 입지를 좁힐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작동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동시에 친박계 의원들은 ‘젊은 정당론’을 평가절하했다. 친박계인 이경재 의원은 “정치 지도자는 스스로 성장해서 나와야 하는 것이지 젊은 지도자가 필요하다고 억지로 만들 수 있는 것이냐.”면서 “무엇보다 젊은 층만 겨냥하다 기존 지지층을 잃을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주현진기자 jhj@seoul.co.kr
2010-06-15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