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생 3명 중 1명 취업 대신 대학원

서울대생 3명 중 1명 취업 대신 대학원

입력 2010-05-16 00:00
업데이트 2010-05-16 12: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서울대 학부 졸업생 3명 가운데 1명 꼴로 국내 대학원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은 2010년 2월 학부 및 석박사 과정 졸업자 4천4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학생활 의견조사 결과,학부 졸업생의 34.0%가 국내 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이어 일반기업 취업 24.5%,전문·기술직 취업 14.1%,국가고시 준비 10.9% 등 순이었다.

 진로를 선택한 시기는 대학 4학년이 37.4%였고,3학년 22.4%,1~2학년 14.7%,중고교 시절 9% 등이었다.

 또 석사과정 졸업생은 가장 많은 44.1%가 전공 관련분야에 취업했으며,국내 대학원 박사과정 진학 25.7%,유학 14%,전공 무관분야 취업 4.3% 등 순으로 진로를 택했다.

 박사과정 졸업생의 진로는 국외 교육기관 박사후 과정 진학 19.3%,국내 교육기관 박사후 과정 진학 17.2%,기업체 취업 21.1%,학교 취업 13.1%,연구소 취업 11.3% 등 순이다.

 학부생과 석박사 과정 응답자들이 가장 힘들게 생각하는 문제는 모두 ‘진로 선택’으로,5점 척도에서 각각 3.43점과 3.17점을 기록했다.

 학부 졸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는 교양 습득 및 인격 완성 26.6%,학업 25.5%,폭넓은 대인관계 23.7% 등 순이었다.

 학생회 활동에 한 번 이상 참여한 경우가 과반수(55.0%)였지만 동아리 활동 참여율은 84.4%에 달해 서울대생의 대학생활이 주로 동아리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생의 하루 공부시간은 3~4시간이 30.4%로 가장 많았고 5~6시간 25.8%,7시간 이상 24.4%,1~2시간 16.6%,1시간 이하 2.7% 등이었다.

 응답자의 정치적 성향은 학부 졸업생이 보수 26.9%,진보 33%,중도 40.1%,석박사 과정이 보수 25.9%,진보 33.6%,중도 40.5% 등으로 중도가 가장 많았다.

 서울대 졸업생의 과반수는 천안함 정국에도 불구하고 북한을 협력해야 할 대상(학부 55.0%,석박사 56.5%)으로 보고 있었으며,경계 대상이나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자는 30% 미만이었다.

 서울대 관계자는 “취업난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기 때문인지 학부 졸업생의 대학원 진학 비율이 여전히 높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