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발표 앞두고 더 분주한 美 왜?

천안함 발표 앞두고 더 분주한 美 왜?

입력 2010-05-14 00:00
업데이트 2010-05-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워싱턴 김균미특파원│다음주 한국 정부의 천안함 사건 조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미국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46명의 희생자를 낳은 천안함 사건이지만 막상 조사 결과가 나오더라도 한국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조치들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과 함께 정치적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물론 의회까지 나서서 한국 정부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미국은 그동안 천안함 사건과 6자회담 재개 문제를 놓고 한·미 양국 간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비치자 제임스 스타인버그 국무부 부장관와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 등이 직접 나서 ‘선(先) 천안함 해결, 후(後) 6자회담 재개’라는 미국의 입장을 분명히 밝히며 논란을 잠재웠다.

미 정부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오는 24~25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중 전략경제대화를 전후해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의 방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힐러리 장관이 중국 방문에 앞서 한국에 들르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스타인버그 부장관이나 커트 캠벨 차관보가 대신 방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정부는 힐러리 장관의 방한이 갖는 상징성을 감안해 일정상 1박을 하기가 어렵다면 베이징에 가는 길에 ‘당일치기’로 한국을 방문, 한·미 공조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길 내심 기대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천안함 사건에 대한 국제사회 대응의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에 대한 외교 노력도 강화하고 있다. 힐러리 장관은 11일 밤(현지시간) 다이빙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과 1시간 넘게 전화통화를 하고 천안함 사건에 대한 대책 등을 논의했다. 힐러리 장관과 다이빙궈 국무위원은 지난달 29일에도 1시간가량 전화통화를 하고 6자회담의 재개 방안 등을 논의했다.

kmkim@seoul.co.kr
2010-05-14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