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6시간 못자면 수명 준다”

“하루 6시간 못자면 수명 준다”

입력 2010-05-07 00:00
업데이트 2010-05-0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伊 공동연구팀 “신진대사 악영향… 성인병 유발”

하루 6시간 이상 잠을 자지 않는 생활습관은 수명을 단축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5일(현지시간) 영국 워윅대·이탈리아 페데리코2대학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하루 6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는 사람들은 6~8시간을 자는 사람들보다 향후 25년 내에 일찍 죽을 확률이 12%가량 높았다.

연구팀은 아시아·유럽·미국 등 전 세계의 16세 이상 150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10년 동안 추적·조사한 15개의 수면관련 연구를 종합했다. 연구 결과는 ‘수면학저널’ 최신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하루 9시간 이상 자는 사람이 조기 사망하는 경향도 나타났지만 이 경우에는 잠을 오래 자는 원인이 건강에 좋지 않은 탓일 수도 있어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연구책임자인 프란체스코 카푸치오 워윅대 교수는 “현대인들은 평균 수면시간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정규직에 있는 사람들의 수면 부족이 심하다.”면서 “더 많은 시간 동안 일하도록 강요하는 사회적 압력이나 잦은 이직이 원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하루 6시간 이하 수면의 경우 호르몬 분비와 신체 내 각종 신진대사에 악영향을 미쳐 당뇨, 비만, 고혈압, 콜레스테롤 과다 등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에 참여한 짐 혼 러프보로 수면연구소 박사는 “수면은 사람의 정신과 신체 모두에 리트머스 시험지처럼 즉각적으로 영향을 끼친다.”면서 “5시간 이하로 자면 건강 악화는 물론 운전이나 위험한 기기의 조작 등 일상생활에도 나쁜 영향을 준다.”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05-07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