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앉은 천안함 떠오르는 충무공

가라앉은 천안함 떠오르는 충무공

입력 2010-04-29 00:00
업데이트 2010-04-29 0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순신 탄신 465주년… 재조명 활기

충무공 탄신일 465주년인 28일 서울 등 전국에서 이순신 장군을 재조명하는 행사가 열렸다. 특히 올해 행사는 천안함 침몰을 계기로 국민의 안보의식 강화 및 나라사랑 정신을 다짐하는 경건함 속에 열려 주목됐다.

이미지 확대
실물 55%크기 거북선모형
실물 55%크기 거북선모형 28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지하에서 열린 이순신 장군 기념관 ‘충무공 이야기’ 개관식에서 서울시 관계자 등 참석자들이 실제 크기의 55%로 축소 제작된 거북선 모형 앞에 서 있다.
김태웅기자 tuu@seoul.co.kr


●광화문 ‘충무공 이야기’ 기념관 개관

서울시는 세종로 정부청사 쪽 광화문 광장 지하에 장군의 생애와 업적을 전시한 ‘충무공 이야기’ 기념관을 열었다. 전시관은 세종대왕 기념관인 ‘세종 이야기’ 바로 옆의 세종문화회관 지하 2층 2013㎡ 부지에 들어섰다.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10시30분까지 문을 연다. 관람은 무료이다.

1968년 4월27일 서울신문사가 세종로 대로에 세운 충무공 동상과 어울려 장군의 얼을 되살리고 널리 알리는 공간으로 안성맞춤이다. 동상이 위치한 곳은 지난해 8월 광화문광장 개장과 함께 ‘12·23분수’가 물줄기를 뿜는 등 시민들에게 주목받는 명소로 자리잡았다. 12는 장군이 12척의 군함으로 왜적을 물리친 명량해전을 상징하고, 23은 23전23승이라는 전적을 가리킨다.

●통영 충렬사에선 기념제 거행도

서울시는 전시관을 첨단 디지털 기술과 전시 기법을 접목해 충무공의 생애와 난중일기 작성, 동시대 및 후세의 평가 등 다양한 이야기를 엮어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공간으로 만들었다. 장군이 왜적을 물리치는 데 썼던 거북선(길이 33.7m 높이 6.6m 너비 10.4m로 추정)을 55%로 줄인 모형도 설치돼 관람객들은 배 안에서 노를 저어보거나 다양한 전투 장면 등이 담긴 영상물을 볼 수 있다.

7월부터는 전시관에서 충무공의 삶을 주제로 한 7분가량의 4D 애니메이션 영상도 상영된다.

장군의 신위를 모신 경남 통영시 명정동 충렬사에서는 기념제가 거행됐다. 이날 탄신제에는 지역 주민과 해군 진해기지사령부 장병, 한국해양소년단 남부연맹 소속 학생 등 300여명이 참여해 신위에 참배하고 헌화하며 충무공의 애국정신을 기렸다. 충남 아산 현충사에서는 다례제가 열렸다. 초헌관의 분향(焚香)·헌작(獻爵)과 축관(祝官)의 축문 낭독, 아헌례, 종헌례에 이어 대통령을 대신해 정운찬 국무총리의 헌화와 분향 순서로 진행됐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2010-04-2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