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가락 녹아있는 지사의 절개

가락가락 녹아있는 지사의 절개

입력 2010-04-22 00:00
업데이트 2010-04-2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혜숙 명창, 민영환 선생 추모 ‘혈죽가’ 복원… 음반 출시

‘국운이 쇠한 곳에 충신이 슬피 울고/ 열사의 가실 길은 죽음밖에 없단 말가/ 낙엽도 다 진하고 눈보라 치운 날에/ 평리원 섬돌 아래 외로이 무릎 꿇고/ 이천만 동포 아껴 애틋이 눈물 지니/ 하날도 한겨운 듯 날마다 거물댄다’

이미지 확대
광복 이후 맥이 끊긴 ‘혈죽가’를 복원, 음반으로 내놓은 남혜숙 명창.   서울소리보존회 제공
광복 이후 맥이 끊긴 ‘혈죽가’를 복원, 음반으로 내놓은 남혜숙 명창.

서울소리보존회 제공


1906년 대한매일신보(현 서울신문)에 ‘대구여사’(大丘女史·필명)가 발표한 ‘혈죽가’(血竹歌)의 일부다. 한 해 전 체결된 을사늑약에 반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애국지사 민영환 선생을 추모한 시조다. 아직 학계의 의견이 분분하지만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현대시조라는 주장도 있다. 사람들은 여기에 가락을 붙였고, 경기민요 대가 김옥심 명창을 통해 민초들의 한을 대변하는 창(唱)으로 거듭 났다.

하지만 해방을 거치며 맥이 끊겼다. 그 혈죽가가 다시 복원됐다. 김옥심 명창의 제자 남혜숙(68) 명창을 통해서다. 남 명창은 21일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주위의 권유에 따라 최근 음원 녹음작업을 마쳤다.”며 “올해는 한·일 병탄 100주년 되는 해여서 감회가 더욱 남다르다.”고 말했다.

혈죽가는 서도소리 조로 의연하게 부르는 게 특징이다. 별다른 악기 없이 장고 반주에만 의존한다. 음반에는 총 8절 가운데 4절만 담겼다. 남 명창은 “나머지 4절은 민영환 선생의 자결 장면을 너무 세세히 묘사하고 있어 녹음을 생략했다.”고 설명했다.

음반 녹음은 최근에 마쳤지만 복원 작업 자체는 지난해에 성공했다. 그럼에도 남 명창은 기념공연을 머뭇거린다. 징크스 때문이라고 했다. 복원에 성공한 직후인 지난해 5월, 공연을 열 예정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이 갑자기 목숨을 끊는 바람에 8월로 미뤄야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하면서 공연을 접어야 했다.

남 명창은 “그래도 복원된 혈죽가를 선보여야 한다는 의견에 따라 작년 10월 공연 일정을 다시 잡았으나 그 무렵 노태우 전 대통령의 건강악화설이 흘러나와 결국 혈죽가만 빼고 불렀다.”며 “이제는 (혈죽가를 무대에 올리기가) 솔직히 두렵다.”고 털어놓았다.

그래서 공연 대신 음원으로 기록을 남기기로 했다. 경제적 사정 때문에 지지부진하던 음반 작업은 혈죽가가 잊혀가는 사실에 아쉬워하던 유대용 중앙대 겸임교수가 흔쾌히 사재를 내놓으면서 속도가 붙었다.

남 명창은 “혈죽가가 오랫동안 살아 숨쉬길 원한다. 조금씩 도태돼 가는 국악의 현실 속에서 기록으로만 존재하는 비운의 곡이 되지 않기를 원한다. 오는 광복절에는 꼭 혈죽가가 울려 퍼지기를, 그래서 국민들이 민영환 지사의 혼을 오래오래 기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4-22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