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진 세월과 함께한 시인의 삶

모진 세월과 함께한 시인의 삶

입력 2010-04-03 00:00
업데이트 2010-04-03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송회사건 피해자 강상기 시집 ‘와와 쏴쏴’

참 야만스러운 시절이었다. 그 국어선생님들이 좋아한 것은 시(詩)와 문학, 진리, 조국, 그리고 제자들이었다. 엄혹했던 1982년, 4·19에 대한 기억조차 외면하려는 현실이 안타까워 막걸리 10병 사들고 학교 뒷산 솔밭에 앉아 자신들의 소시민적인 삶에 대해 부끄러워한 것이 전부였다. ‘오송회’라는 소박한 이름으로 활동했던 이들은 그러나 반공법, 국가보안법 위반이라는 무시무시한 죄목에 옭아매진 채 감방과 법정을 전전해야 했다. 이른바 ‘오송회 간첩단 사건’이다.

그들이 명예를 회복하는 데는 너무도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2008년 11월 오송회 사건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가 선고됐다. 꼬박 26년이 걸렸다. 누군가는 이미 세상을 떴고, 또 다른 누군가는 정처없이 떠돌아야 했다. 그러나 어떤 야만과 폭압도 시인의 해맑은 감성을 해치지는 못했다.

‘오송회 사건’의 피해자로 오랫동안 모진 시련의 세월을 살아온 시인 강상기(64)가 세 번째 시집 ‘와와 쏴쏴’(시와에세이 펴냄)를 내놓았다. 1966년 문예지 ‘세대’, 197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니 시인으로서 무려 44년에 걸쳐 봄과 가을을 맞았다. 그런데도 겨우 세 번째 시집이다. 분노와 한숨의 세월이 여기에서도 짐작된다. 그래서인지 시인은 전신주 변압기에서 떨어진 한 덩어리 검은 것에서 전기고문 앞에 나약해지던 자신을 쉬 떠올리거나(‘별똥’) 나들이 나간 강물에 일렁이는 자신의 그림자만으로도 그날 그 온갖 고문이 가해지던 지하실이 저절로 떠오른다.(‘어떤 날’)

그러나 ‘이/ 작은/ 꽃등 하나// 세상의 어둠// 환히/ 밝히며// 살 수 있거늘’(‘패랭이꽃’ 전문)처럼 길가 꽃 한 포기에 드는 애정을 심상하게 표현하거나, ‘달빛에/ 배꽃 그림자/ 유리창에 흔들려/ 늦은 저녁/ 그대 그리움에/ 잠자리 뒤척이면서/ 새로이 가슴 아파라’(‘봄밤’ 전문)와 같은 사랑 노래는 기가 막힌 절창에 가깝다.

산문 형식을 취하면 격정의 토로가 될까 두려운 탓일까, 시편들이 전체적으로 짧다. 넉넉한 여백이 오히려 가슴에 가득 들어찬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0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