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선도, 6m 화폭에 神仙의 필치

군선도, 6m 화폭에 神仙의 필치

입력 2010-04-02 00:00
업데이트 2010-04-02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미술관 리움 ‘단원 김홍도’ 특별전

서양미술사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있다면 우리에게는 김홍도가 있다. 산수화·인물화·신선화(神仙畵)·불화(佛畵)·풍속화 등 모든 화목(畵目)에 능했던 천재화가 김홍도의 대표작이 10월10일까지 서울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전시된다.

이미지 확대
김홍도 최고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군선도’는 국보 139호다. 국보가 적은 조선시대 회화중 최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미술관 리움 제공
김홍도 최고의 작품 가운데 하나인 ‘군선도’는 국보 139호다. 국보가 적은 조선시대 회화중 최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삼성미술관 리움 제공
●삼공불환도·송하맹호도 등 전시

단원 김홍도(1745~1806 추정)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화가로, 왕실에서 서민층에 이르기까지 최고의 명성을 떨쳤던 화원(나라에서 설치한 회화기관) 화가였다. 특히 서민들의 삶을 실감나게 묘사한 풍속화는 김홍도 회화의 백미로 꼽힌다. 교과서에도 많이 실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친근하다.

모두 18점의 작품이 소개되는 ‘단원 김홍도’ 특별전 하이라이트는 국보 139호인 ‘군선도’. 김홍도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그림이다. 조선시대 회화 가운데 불교 그림을 제외하면 국보는 완당세한도를 포함한 겸재 정선 작품 3편과 혜원 신윤복 풍속도 등 모두 일곱 작품에 지나지 않는다.

이미지 확대
‘송하맹호도’
‘송하맹호도’
젊은 시절 신선도로 이름을 날린 김홍도가 32세였던 1776년에 그린 ‘군선도’는 6m에 가까운 대작이다. 거대한 화면에 신선들의 행렬을 담았다. 젊은 시절 김홍도의 활발한 필치와 화면 전체에 흐르는 힘이 돋보인다.

김홍도가 천재 화가로 명성을 떨친 뒤에는 정조가 있었다. 김홍도의 후원자였던 정조는 ‘주부자시의도(朱夫子詩意圖)’에 직접 글을 남겼다. 정조는 “김홍도가 주자(朱子)의 뜻을 깊이 얻었다.“고 칭찬하며 그림마다 시로 화답했다. 원래 총 8폭이었으나 지금은 6폭만 남아있다. 16년만에 공개되는 작품이다. 병풍이었다가 불에 타 낱장으로 남아있던 ‘삼공불환도(三公不換圖)’도 처음 공개된다. 리움 보존연구실이 4년간의 보존 처리 끝에 병풍으로 개장(改裝)했다.

삼성그룹이 해마다 VIP들에게 보내는 달력의 올해 표지 작품으로 채택돼 여러 번의 품절 사태를 빚은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도 전시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최고의 호랑이 그림으로 꼽힌다.

●홍라희 前관장 복귀 신호탄?

리움은 2008년 1월부터 고미술 이해를 돕고 소장품을 보여주기 위해 고미술 작가 특별전을 열어왔다. 김홍도 직전에는 정선의 작품이 전시됐다.

‘단원 김홍도’전이 관심을 끄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부인인 홍라희 전 리움 관장의 복귀와 맞물려서다.

미술계는 리움이 각별히 신경쓰는 김홍도전을 홍 전 관장의 복귀 신호탄으로 해석한다. 실제 리움은 전시 준비에만 6개월 이상 시간을 쏟았고, 작품도 희귀작 위주로 엄선했다. 리움이 오래간만에 선보이는 대형 전시이기도 하다. 리움은 2008년 4월 이건희 회장 부부의 동반 사퇴 이후 각종 기획전을 잇따라 취소했다.

리움 측은 “김홍도전은 기획 전시가 아니라 상설 특별전”이라며 “(홍라희씨의 관장직) 복귀는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거듭 밝혔다. 하지만 미술계는 리움이 올 하반기에 대형 현대미술 기획전을 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02)2014-6900.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04-0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