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 포커스] “헬기출동 16분 소요 초기진압 취약 여전”

[토요 포커스] “헬기출동 16분 소요 초기진압 취약 여전”

입력 2009-12-26 12:00
업데이트 2009-12-26 1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훈련 평가단 전성균 교수

“화재발생과 동시에 통도사 자위소방대가 출동했지만 가장 가까운 하북119 안전센터는 9분47초 만에 도착했습니다.”

이미지 확대
도사 소방훈련 민간평가단은 “가능성과 함께 미비점도 속속 드러났다.”고 총평했다. 평가단은 배인기 한국소방안전협회 경남지부장과 양산대 교수 등 5명으로 구성됐다. 평가단장인 전성균 양산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예전과 달리 대응 시나리오 없이 모든 신고, 출동이 실제처럼 이뤄져 소방자위대의 초기 조치, 유관기관의 공조체계를 중점 확인하는 데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문화재 화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진압은 여전한 취약점으로 꼽혔다. 평가단은 “울산·부산 지원 및 헬기출동은 16분 이상 소요돼 문화재 적심까지 불이 번졌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첨단진압장비 활용이 힘들었다.”고 지적했다.

지리적인 거리 탓도 있다. 가장 가까운 119센터가 6㎞ 밖에 위치해 있고 양산소방서는 26㎞ 거리에 있다. 때문에 평가단은 “수막커튼 등 자위 소방대 장비보강과 함께 공조체제 표준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화재가 났을 때 각 기관 손발이 맞으려면 자치단체 여건, 문화재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대응 매뉴얼을 현장에 적용시켜야 한다는 조언이다. 그래야 교육효과도 배가될 수 있다.

아울러 전 교수는 문화재 피해든 인명 피해든 매번 똑같은 식으로 화재피해를 입고 있는 우리로서는 미국 9·11 테러 때의 모건 스탠리사의 대응 매뉴얼을 적극 본받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월드트레이드센터 30여개층에 3500여명이 입주해 있었던 모건 스탠리는 사고 직후 파산설까지 나돌았지만 만 하루 만에 정상영업을 선언했다. 완벽한 재난대피 매뉴얼과 교육, 데이터베이스 백업 덕분에 인명·자료피해가 극적으로 미미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양산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2009-12-26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