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사회통합위 갈등해소 제도화 앞장서길

[사설] 사회통합위 갈등해소 제도화 앞장서길

입력 2009-12-22 12:00
업데이트 2009-12-22 1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가 23일 출범한다. 위원장은 고건 전 국무총리가 맡았다. 위원은 고 전 총리를 포함해 민간위원 32명, 관계부처 장관(당연직) 16명 등 48명이다. 사회통합위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8·15 경축사에서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따뜻한 자유주의, 성숙한 민주주의를 실현하자.”고 언급한 데 따른 후속조치로 볼 수 있다. 고 위원장은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소하는 절차를 제도화하며, 소통을 통해 소모적 대립과 갈등을 지양하고 경쟁과 협력의 공존을 통해 새로운 미래지향적 패러다임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우리는 이 대통령과 고 위원장의 견해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사회통합위의 활동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우리 사회는 지금 전 분야에서 건국 이후 가장 크고 깊은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중요 국책사업들이 이념과 지역 이기주의에 가로막혀 표류하고, 국가·사회적 의제마다 이념 과잉으로 여론은 갈기갈기 찢어져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사회 갈등으로 인해 해마다 국내총생산(GDP)의 27%(약 300조원)를 허공에 날려 보낸다고 한다. 고질적인 갈등과 분열을 방치하고는 나라도 경제도 온전할 수 없는 절박한 상황에 이른 것이다.

사회통합위 민간위원들의 면면을 보면 역대 정부의 장관을 비롯해 이념과 지역을 아우르는 인선이다. 경험과 학식이 풍부하고 국민적 신망도 두텁다. 일단 사회통합을 위한 첫 단추는 잘 끼웠다고 본다. 위원들은 국가적 소명을 받은 만큼 가슴을 열고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해주길 바란다. 정부도 사회통합위의 활동을 적극 지원해 명실상부한 ‘국민기구’로 정착시켜야 한다. 사회통합은 나라의 격(格)을 높이는 과업이기도 하다. 국민의 동참이 사회통합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소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2009-12-22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