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417m 호수 死海 상처입은 심신도 치유

해발 -417m 호수 死海 상처입은 심신도 치유

입력 2009-12-17 12:00
업데이트 2009-12-17 1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엔보켁(이스라엘) 박록삼특파원│세계에서 수면이 가장 낮은 호수이다. 또한 어떠한 생명체도 살지 못하는 죽음의 공간이다. 그러나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어 드디어 올라갈 수 있고, 모두 죽어 있기에 새로운 탄생을 꿈꿀 수 있는 역설의 공간이기도 하다. 신문, TV, 잡지 등을 통해 접했던 곳이건만 막상 맞닥뜨린 이 휴양지는 여러 상념을 북돋는다.

이미지 확대
사해(死海). 이름 그대로 죽음의 땅이다. 하지만 여기는 황무지를 일궈내며 건설한, 이스라엘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다. 디아스포라(Diaspora·유랑민)로 세계 곳곳을 떠돌던 유대인들이 척박한 자연 환경의 어려움을 뚫고 정착한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이방인들은 그런 감상이 없어도 그만이다. 광야 한가운데 펼쳐진 사해는 휴양지, 관광지로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사해는 염도 30~35%의 짠물이다. 보통 바다가 염도 5% 정도라 하니 거의 염전 수준이다. 또한 사해는 해발 -417m의 호수다. 갈릴리 호수에서 시작한 요르단강이 흘러들어오지만 어디로도 흘러갈 수 없는 운명이다. 들어왔지만 나갈 수 없는 사해는 하루에 1㎜씩 말라가고 있다. 이스라엘 정부가 지중해 또는 홍해에서 물을 끌어오는 방법을 논의하고 있을 정도다.

하지만 인근의 물이 마지막으로 모여서 고이는 것처럼 사람들도 모인다. 몸의 치료를 위해, 마음의 안식을 위해 모여든다.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 대단히 농축된 미네랄을 많이 품고 있어 피부병 치료, 관절염 치료 등에 좋다. 사해의 진흙과 짠물을 갖고 만든 머드팩, 화장품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사해의 진정한 매력은 직접 들어가야 느낄 수 있다. 몸을 띄운 채 고개를 들면 건너편 요르단의 울퉁불퉁한 산세가 아련하게 보인다. 설산수행했던 부처의 늑골처럼, 혹은 십자가를 메고 골고다 언덕을 오르는 예수의 가슴팍처럼 앙상하다. 파스텔톤의 파란 하늘이 대안(對岸)의 요르단과 가까이 갈수록 마치 구름이 끼어 있는 듯 뿌옇게 바뀌어 간다. 바다와 하늘의 경계도 흐려진다. 하늘은 구름과 서로 삼투하고, 구름은 산맥과, 산맥은 사해와 서로 삼투한다. 이쯤 되면 하늘, 구름, 바다의 경계는 무의미해진다고 봐야 할 것이다.

사해의 물은 젤처럼 끈적한 느낌이다. 해수욕을 마치고 나면 마치 마사지를 받은 듯 피부가 매끈거린다. 주의할 점은, 당연하지만, 대단히 짜다는 사실이다. 섣불리 맛보려 덤비는 것도 피할 일이다. 또한 첨벙거리며 수영하는 것도 금물이다. 혹시 사해로 들어갈 일이 있으면 면도는 피해야 한다. 바늘로 콕콕 찌르는 것처럼 아프다.

사해에서 차로 1시간 남짓 위쪽에 위치한 광야 한 곳에 우뚝 솟아 있는 마사다(Masada) 요새는 로마에 저항하던 유대인 960여명이 함락 직전 스스로 자결한 곳으로 유명하다. 로마군의 노예로 전락하느니 존엄을 지키겠다는 뜻으로, 지금도 해마다 이스라엘 군대가 ‘다시는 마사다 요새는 함락되지 않는다.’라고 구호를 외치면서 행사를 갖는 곳이다.

글 사진 youngtan@seoul.co.kr
2009-12-17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