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말 공연계 ‘섹시코드’ 시끌시끌

연말 공연계 ‘섹시코드’ 시끌시끌

입력 2009-12-10 12:00
업데이트 2009-12-10 1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빅뱅의 지드래곤 콘서트·연극 ‘교수와 여제자’ 등 선정성 논란

세밑 공연계가 선전성 논란에 다시 휩싸였다. 일부 공연의 노골적이고 자극적인 장면을 놓고 찬반 양론이 뜨겁다. ‘섹시 코드’ 역시 문화계의 중요한 트렌드 가운데 하나인 만큼 윤리적 잣대로 재단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과, 작품성이 받쳐주지 않는 ‘섹시 코드’는 흥행을 노린 수단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엇갈린다.

이미지 확대
문제가 된 지드래곤 콘서트의 한 장면(왼쪽)과 연극 ‘교수와 여제자’ 포스터.
문제가 된 지드래곤 콘서트의 한 장면(왼쪽)과 연극 ‘교수와 여제자’ 포스터.
●관객이 여배우 껴안는 해프닝도

9일 공연계에 따르면 논란의 발단은 가수 지드래곤(21·본명 권지용) 콘서트와 연극 ‘교수와 여제자’다. 인기그룹 ‘빅뱅’의 멤버인 지드래곤은 지난 5~6일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를 가졌다. 세로로 세워진 침대에 여성댄서가 쇠사슬에 묶여 있고, 지드래곤은 이 댄서와 성 행위를 연상시키는 모습을 연출했다. 거친 숨소리도 간간이 섞여 나왔다.

여배우의 전라 연기가 10분가량 펼쳐지는 ‘교수와 여제자’는 지난해부터 ‘외설’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급기야 지난 6일 서울 명륜동 한성아트홀 공연에서 40대 후반 남성 관객이 여배우를 껴안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주최 측은 선정성 논란에 다소 억울하다는 표정이다. 지드래곤 측은 “아이돌 스타에서 성인이 된 지드래곤의 모습을 퍼포먼스로 연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교수’ 제작사인 ‘예술집단 참’도 “중·장년 부부의 성적 트러블을 다룬 작품인 만큼 어느 정도의 노출은 불가피하다.”면서 “선정적이라는 평은 지극히 주관적”이라고 반박했다.

실제 지드래곤 콘서트를 본 20대 여성관객 김모씨는 “다소 민망한 장면이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그렇게 야하다는 느낌은 없었다.”고 말했다.

●근본적 접근법 고민해야

따라서 ‘선정적이냐, 선정적이지 않으냐.’라는 단편적인 접근보다는 ‘섹시 코드’에 대한 근본적 접근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동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학과 교수는 “갈수록 거세지는 대중의 섹시 코드 요구가 공연계의 ‘표현의 자유’라는 원칙과 결합하면서 거스를 수 없는 문화적 조류를 만들어 내고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지드래곤 공연만 하더라도 주요 관객층이 20~30대 여성이기 때문에 남성적 섹시함을 핵심코드로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다시 말하면 ‘꽃미남 아이돌’을 바랐던 대중의 요구가 ‘거칠고 남성적인 아이돌’로 바뀌면서 공연계가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결과인 만큼 외설적이라고 매도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문화적 현상을 윤리적 잣대로만 획일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이영미 대중문화예술 평론가도 “예술이냐 외설이냐의 이분법적 접근법은 난센스”라고 전제한 뒤 “노출 수위가 어떻든 이를 얼마나 자연스럽게 녹여내 높은 작품성으로 승화시키느냐가 관건”이라고 역설했다. 예컨대 배우들이 알몸으로 출연했던 연극 ‘논쟁’은 알몸이 상징하는 태고의 순수성과 자유로움을 제대로 표현, 작품성을 인정받으면서 초기의 선정성 논란을 잠재웠다.

하지만 공연계가 ‘트렌드’라는 명분 아래 섹시 코드를 남발한다는 따가운 시선도 적지 않다. 이동연 교수는 “작품성이나 주제와의 연관성이 결여된 채 다분히 흥행을 의식한 노골적이고 자극적인 장면 연출은 예술계 전반의 퇴보를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영미 평론가는 “이를 걸러내는 것은 평론가와 관객의 냉정한 평가”라고 뼈있는 말을 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09-12-10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