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연극 ‘운현궁 오라버니’ 12일까지

연극 ‘운현궁 오라버니’ 12일까지

입력 2009-12-04 12:00
업데이트 2009-12-04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30년대는 동·서양이 교차하고 봉건과 현대가 공존하는 ‘문화적 점이지대’다. 지난해 영화계에 ‘라듸오 데이즈’, ‘모던보이’ 등 1930년대를 조명한 작품들이 쏟아진 데 이어 연극계에서도 1930년대를 소재로 한 작품이 무대에 오른다.

이미지 확대
남산예술센터에서 4일부터 13일까지 공연하는 ‘운현궁 오라버니’는 쇠락한 황실의 일상과 혼재된 시대에 고여 있는 역사적 흐름을 서정적이고 간결한 언어로 풀어낸다. 일제강점기 조선의 마지막 황족으로 불운한 삶을 살다간 주인공 이우(김영민)가 이야기의 중심 축이다.

2009 옥랑희곡상을 받은 신은수 작가의 동명 희곡이 원작이다. 역사적 사실과 작가의 픽션(허구)을 오가며 캐릭터와 사건보다는 정서와 심리적 갈등에 무게를 두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퓨전사극이나 1930년대를 다룬 시대극과는 거리를 둔다.

연극은 1930년대 초 일본에서 육군사관학교에 다니던 이우가 방학을 맞아 운현궁을 찾으면서 시작된다.

권위를 잃은 황실에 거주하는 이우의 동생 해원(김란희), 비운의 역사에 휘말려 정체성을 잃어가는 형 이건(이남희), 시대 정세에 발맞춰 권력을 잡으려는 친일파 박영효(이호재) 등 등장인물의 심리 상태에 초점이 맞춰졌다. 혼기가 찬 이우가 내선일체 정책에 따라 억지로 일본 여자와 혼사를 치러야 할 상황에 이르면서 극의 갈등은 최고조에 이른다.

영화 ‘불꽃처럼 나비처럼’에서 고종 역을 맡아 서글픈 왕족의 이미지를 표현했던 이우 역의 김영민(앞줄 오른쪽)은 극중에서 ‘황성옛터’를 부르며 나라 잃은 백성의 황망한 심정을 관객에게 전달한다.

운현궁을 황성옛터의 이미지이자 ‘망자(亡者)들의 공간’으로 해석한 연출가 이성열씨는 “운현궁은 지나가 버린 역사의 잊혀진 사람들의 공간이면서 ‘기억의 집’이기도 하다. 내년 한·일 강제합병 100년을 맞아 이 시대를 사는 젊은이들에게 우리의 정체성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5일부터 11일까지 같은 장소에서 ‘1930년대 특강 시리즈’도 열린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09-12-0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