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석유 소비증가율 6년만에 최고

10월 석유 소비증가율 6년만에 최고

입력 2009-12-02 12:00
업데이트 2009-12-02 12: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0월 국내 석유제품의 소비증가율이 6년 4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부분의 유종에서 소비가 큰 폭으로 늘고 있는 점으로 미뤄 국내 산업경제가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켜는 것인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1일 한국석유공사와 정유업계에 따르면 10월 석유제품 소비는 6626만 5000배럴로 지난해 10월에 비해 9.9%나 상승했다. 이는 2003년 6월 증가율 10.8% 이후 가장 높다.

휘발유 소비량은 594만 9000배럴로 지난해 10월 대비 20.7%가 늘었고 산업수송용 수요가 많은 경유는 11.5%, 석유화학산업의 주요 원료인 납사는 9.4% 증가했다. 항공유는 10월 수요가 249만 4000배럴로 지난해 10월보다 35.7% 늘었고 윤활유 소비도 52.5%나 껑충 뛰었다.

석유제품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데에는 ‘석유제품 가격이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주요 정유사가 공급하는 석유제품 가격은 지난 8월 셋째주부터 10월 첫째주까지 7주 동안 인하됐다. ‘바닥 가격’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석유도매상과 제조업체, 항공사 등이 물량 확보에 적극 나섰다는 것이다.

산업경제의 회복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경유 소비의 급증은 물류수송이 활발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유는 컨테이너 트럭 등 산업수송용 수요가 가장 많다. 납사의 증가는 석유화학산업의 시황이 긍정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점을 내포한다. 장기적으로 마진폭 증가에 따른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

항공유 소비의 급증은 신종플루로 맥을 못추던 해외여행 수요가 본격적인 회복 단계에 들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단기적으로는 연말 특수가 기대되는 데다 신종플루로 인해 여행을 미룬 대기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윤활유의 원료인 윤활기유의 소비 급증은 노후차 교체 수요의 집중과 신차 효과에 따른 자동차 판매량의 급증으로 풀이된다. 다만 화력발전소 등 발전용 연료로 쓰이는 벙커C유는 청정에너지인 LNG로 대체되면서 소비가 준 것으로 나타났다.

안상희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10월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소비 폭이 커진 기저효과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09-12-02 1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