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이슈] 무대뒤 통일 주역 ‘그때 그 사람들’

[월드이슈] 무대뒤 통일 주역 ‘그때 그 사람들’

입력 2009-11-04 12:00
업데이트 2009-11-04 1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세계는 베를린의 한 극장을 주목했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를 이끌어낸 3인방이 한자리에 모였던 까닭이다. 조지 H 부시 전 미국 대통령과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헬무트 콜 전 독일 총리가 그 주인공이었다. 이들은 한동안 깊은 대화를 나누며 ‘통일의 추억(?)’을 나눴다. 하지만 통일의 공이 이들에게 있지만은 않다. 1871년 독일 통일을 이뤄낸 빌헬름 1세의 뒤에 명재상 비스마르크가 있듯 통일을 위해 숨가쁘게 뛰어다닌 외교부의 수장들이 있었다. 지도자의 후광에 가려진 주역들을 알아봤다.

●베이커 전 미 국무장관

제임스 베이커는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미 국무장관을 역임하면서 독일 통일과 탈냉전의 한복판에 서 있던 인물이다.

아버지 부시 전 대통령과 함께 독일 통일 이후의 전략을 세우고 소련의 붕괴를 준비했다. 당시 러시아 전문가였던 콘돌리자 라이스 전 국무장관과 더불어 최고의 전략가로 통했다. 1989년 12월 부시와 고르바초프가 냉전체제 종식을 선언한 몰타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것도 그였다.

아버지 부시 대통령이 자리에서 물러난 뒤 학계로 돌아갔지만, 풍부한 외교 경험을 바탕으로 유엔 및 이라크특사 등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00년에는 아들 부시의 선거 캠프에서 고문직을 맡는 등 현실 정치에도 가끔씩 얼굴을 내보이고 있다.

●셰바르드나제 전 소련 외무장관

그루지야 출신의 예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1985~19 90년 소련 외무장관을 역임했다.

고르바초프에 의해 외무장관으로 발탁, 페레스트로이카(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를 최전선에서 지휘했다. 고르바초프보다 더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 마찰을 빚기도 했다. 특히 소련의 해체를 진두지휘했다.

일각에서는 그를 ‘소련 덕에 컸지만 소련을 해체시킨 이중적 인물’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소련이 해체된 뒤 그루지야로 건너간 셰바르드나제는 친미노선을 추구하며 미국의 원조와 지원을 이끌어 냈다. 1995년 그루지야 대통령에 당선, 다시 권력의 최정점에 섰다. 하지만 부패 문제로 2003년 장미혁명에 의해 대통령직을 하야하는 치욕을 당했다.

●겐셔 전 독일 외무장관

‘20세기의 비스마르크’라고 불리는 한스 디트리히 겐셔가 독일 통일에 가장 큰 공이 있다는 주장에는 이견이 없다.

1974년부터 1992년까지 무려 18년간 외무장관을 지낸 그는 셰바르드나제, 베이커와의 두터운 신뢰와 친분을 쌓아 통일을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서방 일변도의 독일외교를 동쪽으로 확대, 동서 균형과 화해를 추구한 ‘탈서구적’ 외교노선은 ‘겐셔리즘’이라는 독트린으로 발전됐다.

통일에 대한 기여도와 국민적 인기를 바탕으로 독일 대통령 후보로도 거론됐지만 소수당 출신이라는 장벽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1992년 정계에서 물러났다. 현재 저작 활동을 하며 남은 여생을 보내고 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09-11-0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