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명학술지 조직적 논문 표절

국내 유명학술지 조직적 논문 표절

입력 2009-11-04 12:00
업데이트 2009-11-04 12: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학계의 거물들이 리뷰(게재 심사)를 맡고 있는 학술지에 다수의 표절논문이 게재된 것으로 드러났다. 편집장인 국립대 교수가 정부기관의 지원금을 타내기 위해 논문표절을 조장하고 은폐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학술지 측은 문제의 논문들을 철회하는 등 수습에 나섰다.

3일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전북대 고분자·나노공학과 강길선 교수가 학회 학술지 ‘조직공학과 재생의학’(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측에 본인이 교신저자(연구 프로젝트를 책임진 책임저자)로 참여한 8편의 논문에 대해 철회 신청했다. 이 학술지는 서울대 문신용 교수가 학회장, 이해방 한국화학연구원 석좌위원이 명예편집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김동욱 연세대 교수·정형민 차바이오앤디오스텍 사장이 편집이사, 김종훈 연세대·임정묵 서울대 교수 등이 편집위원을 맡는 등 학계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2005년 학술지 창간 때부터 지난해 12월까지 5년간 편집위원장을 맡은 강 교수는 철회신청서에 “논문에 중대한 오류가 있어 철회 요청한다.”고 밝혔다. 해당 논문들은 1일 철회됐다. 문제가 된 논문들은 해외 유명 저널에 게재된 리뷰논문(연구 동향을 평가하거나 관련 논문을 분석하는 논문)을 그대로 번역하거나 일부를 번역해 결합하는 방식으로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모두 논란의 여지가 없는 표절이다.

특히 여러 편의 논문 저자 중에는 재학시절 8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화제를 모은 전북대 K(28·여) 연구원의 이름도 올라 있다. K 연구원은 강 교수의 제자로 8월 전북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와 관련, 취재가 시작된 지난달 30일 강 교수는 “지방대 학생들이 영어를 잘 못해서 해외 논문을 번역하면서 배우자는 취지였다.”면서 “이렇게 논문으로 낼 줄은 몰랐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3일에는 “학술지가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논문이 있어야 한다.”면서 “그러나 논문이 없어 일부 학생들에게 번역을 지시했고, 다른 저자들이 같은 방식으로 제출한 표절논문도 많이 실어줬다.”고 밝혔다. 철회 신청한 논문들이 표절논문임을 인정한 셈이다.

철회된 논문들에는 ‘본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과 세포응용연구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고 돼 있다. 강 교수는 “다른 논문들도 찾고 있으며 모두 철회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09-11-04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