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最古 금제장신구 출토

한반도 最古 금제장신구 출토

입력 2009-09-17 00:00
업데이트 2009-09-17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강 하류에 인접한 경기 김포의 한 구릉에서 3세기 무렵 마한 세력의 고분이 대량으로 발굴됐다. 한강문화재연구원은 16일 김포 운양동 발굴조사 현장에서 원삼국~삼국시대 분묘 17기를 비롯, 청동기시대 주거지 3기, 통일신라~고려시대 석곽 4기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지역에서 원삼국~삼국시대 무덤이 과거 1~2기씩 발견된 경우는 있지만 이번처럼 한꺼번에 17기나 발견되기는 처음이다. 이 분묘들은 8~13m가량 규모로 무덤 주변을 방형(方形) 혹은 원형(圓形)의 도랑이 감싼 ‘주구목관묘’(周溝木棺墓)의 형태를 띠고 있다. 주구묘는 이미 충청·호남 지역이나 최근 인천 등지에서도 확인된 적이 있는 마한만의 특색있는 묘 형태다.

이미지 확대
16일 한강문화재연구원이 공개한 경기 김포 운양동 발굴현장(왼쪽)의 모습. 주변을 도랑이 감싼 형태의 이 무덤에서는 국내 최고(最古)의 금제장식품(오른쪽 위)과 대량의 철제무기류(오른쪽 아래)가 출토됐다. 한강문화재연구원 제공
16일 한강문화재연구원이 공개한 경기 김포 운양동 발굴현장(왼쪽)의 모습. 주변을 도랑이 감싼 형태의 이 무덤에서는 국내 최고(最古)의 금제장식품(오른쪽 위)과 대량의 철제무기류(오른쪽 아래)가 출토됐다.
한강문화재연구원 제공
●원삼국~삼국시대 분묘 17기 발견

무덤 내부에서는 다양한 철기류, 장신구, 토기 등이 다량으로 출토됐다. 특히 이번에 나온 금제장신구 3점은 현재까지 유사한 사례를 찾을 수 없는 가장 이른 시기의 금제품으로 추정된다. 장식은 금판을 오려 2㎝ 높이의 원뿔모양으로 말아 올린 형태로 무늬가 세공되지는 않은 소박한 모습이지만, 당시 한반도 귀금속 공예의 수준을 가늠케 하는 귀중한 자료다. 기존에는 서울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4세기 무렵 금제장식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또 무덤에서는 120㎝에 달하는 철검을 포함해 철검 3점, 환두대도 1점, 철모(鐵矛) 20여점과 철촉, 도끼 등 총 60여점의 철제무기류와 6000여점의 수정옥도 함께 발견됐다. 이 철기류들은 당시 낙랑과 진·변한 등 영남 지역에서 사용하던 것들과 유사한 형태다.

●120㎝ 철검 등 60점 철제 무기류도

한강문화재연구원 김기옥 선임연구원은 “이로 볼 때 이 지역의 마한 지배계층이 영남 지역과 교역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이들 유물이 마한의 자체 기술로 제작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어 교류 관계 확정 문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마한·진한·변한이 똑같은 형태의 무기를 사용했다고 전한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는 김포·양촌 택지개발지구 내 유적 발굴을 목적으로 10월 중순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09-09-17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